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즉, 디지털 자산 안에 암호화폐란 개념이 있습니다. 다만 암호화폐는 단순한 화폐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가치 전달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뜻
암호화폐란 용어는 디지털 자산, 가상자산과 헷갈릴 수 있는데 적용 범주에 따라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범주 구분 : 디지털 화폐 > 가상화폐 > 암호화폐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에서 발행하고 사용되는 각각의 디지털 자산입니다. 즉 이더리움 생태계에 사용하는 암호화폐는 이더리움 코인이며, 카르다노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는 에이다, 솔라나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는 솔라나이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과는 호환이 안됩니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는 이유는 그저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일 뿐이며, 실제로 거래소가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생태계가 다르더라도 거래소에서 쉽게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암호화폐는 본연의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만약 개인 간 거래 시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주소로 이동시키면 비트코인이 영구적으로 소실되는 이유가 그중 하나입니다.
암호화폐, 가장 큰 특징
탈중앙화
중앙 기관 없이 분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저들에 의해서 운영됩니다. 블록체인 기반이기 때문에 보안과 정보의 투명성이 보장됩니다.
변조 불가능
블록체인의 시그니처 기술인 정보의 암호화를 통해 보안성이 높고 위조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블록이 형성된 정보는 취소할 수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보의 투명성
모든 거래 내역이 웹 상에 공개되면서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정보는 수많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저에게 분산됩니다.
익명성과 접근성
인터넷에 접속만 할 수 있으면 전 세계 어디에서나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정보는 웹 상에 기록되어 확인할 수 있으나 누군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암호화폐란 명칭과 뜻을 얻기도 했습니다.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 즉 코인의 종류는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기도 하고 프로젝트 실패로 인해 사라지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암호화폐의 종류를 나열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다만 2024년 2월 21일 기준, 코인게코 시가총액 기준으로 1~30위까지 나열하면 아래와 같으며, 현재 발행된 암호화폐는 약 12,000개 수준으로 합산되고 있습니다.
순위 | 코인 | 순위 | 코인 | 순위 | 코인 |
1 | 비트코인 | 11 | 트론 | 21 | BCH |
2 | 이더리움 | 12 | 도지코인 | 22 | 라이트코인 |
3 | 테더 | 13 | 체인링크 | 23 | 다이 |
4 | 바이낸스 코인 | 14 | 폴카닷 | 24 | IMX |
5 | 솔라나 | 15 | 폴리곤 | 25 | STX |
6 | 리플 | 16 | WBTC | 26 | LEO |
7 | 리도 스테이킹 이더 | 17 | 톤코인 | 27 | 카스파 |
8 | USDC | 18 | ICP | 28 | 코스모스 |
9 | 에이다 | 19 | 시바이누 | 29 | 이더리움클래식 |
10 | 아발란체 | 20 | 유니스왑 | 30 | 타오 |
결국 암호화폐 종류는 블록체인 기술 범주로 나누는 방법이 명확할 수 있습니다.
크게 보면,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과 원리가 종류를 나눌 수 있으며, 결국 암호화폐 원리들이 암호화폐 종류를 만들어 냅니다.
암호화폐 원리
따라서 암호화폐 원리는 곧 블록체인 기술이며 대표적으로 3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POW(Proof of Work)방식의 블록체인 : 비트코인 계열
POW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합의 알고리즘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너무 이해하기 어렵기에 금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 블록체인 네트워크 유저들은 금 채굴자와 같습니다.
- 채굴자들은 곡괭이(컴퓨터 고성능) 성능이 좋아야 많은 양의 금(블록)을 채굴합니다.
- 블록 보상은 금괴와 동일합니다.
즉, 고성능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거래정보들을 연산하고 모아서 블록을 만듭니다.
그 정보블록이 정확하다고 여러 사람들에 의해 검증이 되면 기존 블록체인에 추가되는 과정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원리입니다.
즉, 이와 같은 POW 방식으로 비트코인 계열의 암호화폐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OS(Proof of Work) 방식의 블록체인 : 이더리움 계열
POS(Proof of stake) 암호화폐는 합의 알고리즘을 지분증명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스테이킹이란 말이 자주 나오는 기술이 바로 이와 같은 암호화폐 원리를 가진 코인들 말하며, 스테이킹(지분참여)을 통해 채굴을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복권 추첨에 예를 들 수 있습니다.
- 복권 참여자는 POS 시스템의 참여자입니다. 이러한 참여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스테이킹(지분 투자)을 통해 지분율에 따라 복권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이때 복권을 가지고 랜덤으로 선출된 참여자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기며 이때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이와 같은 POS방식으로 암호화폐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OA(Proof of Authority) : 비체인 계열
POA(Proof of Authority) 방식은 신뢰할 수 있는 유저들에 의해 블록 생성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에 비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POA방식의 유저들은 회의 참석자와 같습니다 회의 진행은 블록체인 운영자이며, 이때 회의 참석자 중에 회의록을 작성할 사람을 선정하는데 이때 선정된 사람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집니다.
- 그로 인해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 그 과정에서 선정되지 못한 회의 참석자들은 그 블록을 검증하게 됩니다.
즉, POA방식으로도 암호화폐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폐의 뜻과 원리를 알아간다면 암호화폐 투자를 밝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특정 코인, 암호화폐를 추천하는 글이 아니며, 암호화폐 뜻과 원리, 블록체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글입니다.
투자는 본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하며, 투자 손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