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텀 지표 보는 법(원리)

모멘텀 지표는 차트분석 시 기본적인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로 굉장히 단순하면서 시세의 방향을 알려 주는 지표입니다. 과거 대비 현재의 시세가 상승흐름인지 하락흐름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멘텀 계산식으로 원리 이해

모멘텀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계산식은 2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거 대비 현재의 주가 흐름을 단순 계산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비율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비율로 계산하는 방법 : 현재 시세(오늘 종가) / 과거 시세(설정기간 종가) x 100

단순 계산 방법 : 과거 시세(설정기간 시세) – 현재 시세(오늘 종가)

2가지 계산식으로 알 수 있듯이 RSI 보조지표나, 볼린저 밴드 등과 같은 보조지표보다 모멘텀은 단순하면서 직관적으로 현재 시세 흐름을 알 수 있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들어가는 현재 포지션의 종목이 강세인지 약세인지 알 수 있는 GPS와 같은 역할을 해줍니다.


모멘텀 보조지표 보는 법

모멘텀 특징

현재의 주가 흐름을 직관적으로 과거와 비교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과매수 구간, 과매도 구간 등도 다른 보조지표들과 동일하게 볼 수 있으나, 모멘텀 보조지표는 오늘 주가의 힘을 단순하게 과거와 비교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모멘텀 보조지표의 특징으로 선정할 날짜 기준으로 현재 시세가 강세인지 약세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차트
모멘텀 보조지표 특징

위의 그림은 10일로 설정한 모멘텀 보조지표로 가운데 선을 기준으로 10일 동안의 시세보다 현재 시세가 올랐으면 양의 값을 나타내며, 시세가 떨어졌으면 음의 값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모멘텀 보조지표는 N일을 설정할 때 10일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로 보는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맞는 N일을 찾아서 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입니다. 보통 10일인 경우는 보름간의 시세를 파악하기 위해서 10일(주식거래소 개장일) 선정한 경우입니다.


모멘텀 지표 보는 법

모멘텀 보조지표를 보는 법을 쉽게 하기 위해 n일 선정을 10일과 50일로 비교하였습니다. 즉 보조지표의 가운데는 0의 값으로 오늘의 시세가 10일 혹은 50일 동안의 시세보다 높으면 양의 값을 나타내고 오늘의 시세가 낮으면 양의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로 차이점 보입니다.

모멘텀 보조지표를 10일과 50일 비교하여 50일로 설정한 지표의 값이 뚜렷한 하락세를 설명하는 차트
모멘텀 보조지표의 10일과 50일 비교

모멘텀 보조지표의 n일을 10일과 50일을 비교하였을때 이 종목은 10일보다 50일로 설정해야 좀 더 뚜렷한 추세를 알 수 있습니다.

즉, 모멘텀 보조지표를 10일로 설정한 지표는 등락을 반복하는 듯이 보이지만, 50일로 설정한 지표는 하락 추세가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지표를 활용하여 매수, 매도의 근거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보조지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보는 것이 좋으며, 다른 보조지표들도 장점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매매의 결정적인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며, 많은 시도와 노력을 통해 본인의 것으로 만들어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