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탄소중립을 위한 목표 중 청정 수소 생태계를 위해 차곡차곡 법령을 제정비하고 있습니다. 이에 2023년 10월 미국 에너지부는 미국 내에 청정 수소 허브(H2Hubs)를 선정하였으며, 관련 수소 산업에 총 70억 달러 예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미국 수소 허브 7개 지역 발표 배경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 법의 일부인 수소 허브 7개 지역 선정, 구축에 따라 총 70억 달러가 지원될 예정이며, 미국 전역 7곳에 H2Hubs가 선택되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수소 허브에서는 300만 톤의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이며, 미국이 청정수소를 생산하고자 하는 목표에 약 30%에 해당되는 볼륨입니다.

구체적인 지원내용에는 민간 투자를 촉진시켜 청정 수소 생산, 운송, 저장, 사용 등 수소 생태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국 청정 수소 1kg 당 1달러를 만들기 위해 전략적으로 수소 허브를 계획하고 추진하여, 수소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글로벌 수소 에너지 강대국 지위를 얻고자 하는 의지가 있죠.
- 청정수소 : 미국의 정의는 수소 1kg 당 2kg CO2eq 이하의 탄소집약도로 생산된 수소를 의미하며, 그린수소(신재생 에너지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생산)를 포함한 블루수소(이산화탄소 포집을 통한 생산), 핑크수소(원자력 발전에서 나오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생산)까지 청정수소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수소 허브 7개 지역의 지원내용
지역 | 프로그램 | 지원 내용 | 수소 생산 | |
1 | 워싱턴 오리건 몬타나 | Pacific Northwest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10억 달러 수소생산 : 수전해(재생에너지) | 그린수소 |
2 | 캘리포니아 | California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12억 달러 수소생산 : * 수전해(재생에너지) * 바이오매스 + CCUS(이산화탄소 포집) | 그린수소 블루수소 |
3 | 미네소타 노스다코다 사우스다코타 | Heartland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9억 2500만 달러 수소생산 : * 수전해(재생에너지) * 수전해(원자력) | 그린수소 핑크수소 |
4 | 텍사스 | Gulf Coast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12억 달러 수소생산 : * 수전해(재생에너지) * 화석연료 + CCUS(이산화탄소 포집) | 그린수소 블루수소 |
5 |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 | Midwest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10억 달러 수소 생산 : * 수전해(재생에너지) * 수전해(원자력) * 화석연료 + CCUS(이산화탄소 포집) | 그린수소 핑크수소 블루수소 |
6 | 웨스트버지니아 오하이오 펜실베니아 | Appalachian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9억 2500만 달러 수소생산 : * 화석연료 + CCUS(이산화탄소 포집) | 블루수소 |
7 | 펜실베니아 델라웨어 뉴저지 | Mid-Atlantic Hydrogen Hub | 정부 지원금 : 7억 5000만 달러 수소생산 : * 수전해(재생에너지) * 수전해(원자력) | 그린수소 핑크수소 |
미국 수소 허브 7개 지역의 특징
1. 워싱턴, 오리건, 몬타나 지역 특징
록키 산맥을 끼고 있는 만큼 풍부한 재생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녹색 수소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수소 운송 인프라 구축 및 수소 저장기술 개발을 통해 탈탄소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캘리포니아 지역 특징
미국 서남부 해안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태양광, 풍력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깨끗한 수소 전환과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전해조 기술 개발과 재생 에너지 활용 확대를 통해 수소 저장 기술, 운송 인프라 구축, 해양 분야의 수소 활용 기술 개발을 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3. 미네소타, 노스다코다, 사우스다코타 지역 특징
수소 관련 혁신적인 기술 개발 중심 지역으로 거듭나기 위해 수소 에너지 스타트업 육성과 기술 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수소 산업 인력을 양성하고자 하는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죠.
4. 텍사스 지역 특징
다양한 수소 생산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수소 수출 기반을 구축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글로벌 수소 에너지 협력 지구를 목표로 수소 활용 확대 전략을 통해 경제 성장과 미국 에너지 안보에 한 축을 담당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 지역 특징
궁극적으로는 교통 분야에서 탈탄소 정책을 위해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 및 생산 비용절감을 통해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보급을 확대하고 이에 발맞춰 수소 운송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6. 웨스트 버지니아, 오하이오, 펜실베이나 지역 특징
탄소 포집 및 석탄 가스화 기술 개발을 통해 청정 수소 생산과 운송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좀 특이한 점은 지역균형발전 개념의 지원사업을 통해 석탄 산업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 재취업 지원도 포함되어 있죠.
7. 펜실베니아, 델라웨어, 뉴저지 지역 특징
풍부한 천연가스를 보유한 만큼 블루 수소 생산과 운송 인프라, 저장 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할 예정입니다. 블루 수소 생산 비용을 절감하기에 유리하며 석유 및 가스 산업의 CCUS 기술 접목을 통해 탈탄소화를 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