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조정파동 해석은 난해한 파동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여러 가지 조정파동이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복합조정파동이 가장 난해하며 그중 대표적으로 WXYXZ파동이 복잡하기 때문에 WXYXZ파동 카운팅을 신중히 해야합니다.
WXYXZ 파동이란?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조정파동 중 두 개 이상의 조정파동이 복합적으로 일어날 때 WXY 혹은 WXYXZ 기호를 사용하여 파동 패턴을 구별하며, 2개의 조정파동이 연달아 나타나는 이중 조정파동은 WXY기호를 사용하여 파동패턴을 구분하며, 3개의 조정파동이 연달아 나타나는 삼중 조정파동은 WXYXZ 기호를 사용하여 파동을 구분합니다.
그중에서 삼중 조정파동은 플랫 조정, 지그재그 조정, 마지막 세 번째 조정파동은 삼각수렴 형태로 발생된다고 언급하였으며, 그 의미는 파동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는 시점으로 추세의 방향을 정하는 준비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복합조정파동이 발생되면 난해한 파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파동 카운팅 오류를 주의해야 합니다.
WXYXZ 파동 카운팅
대표적인 복합조정파동 WXYXZ 패턴을 카운팅을 할 때는 추세의 반대파동을 X로 놓고 조정파동 형태에 따라 파동카운팅을 할 수 있습니다.

복합조정파동 중 첫 번째 플랫 조정파동 이후 지그재그 파동이 나타나고 세 번째 파동에서 주가의 방향을 준비하는 패턴인 삼각형 패턴을 대표적으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플랫 조정파동은 3-3-5 형태를 띠는 조정파동이기 때문에 플랫 조정의 마지막 3 파동이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면 파동이 마무리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플랫 조정이 끝난 것을 알아챌 수 있습니다.
통상 X파는 임의의 파동으로 반대추세를 이어주는 파동에 가깝기 때문에 단순 파동으로 카운팅을 하며, 지그재그 파동의 특징인 5-3-5 형태를 확인하면 두 번째 조정파동이 마무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주가의 방향을 준비하는 삼각수렴 형태가 나타나면 3중 복합조정파동이 완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복합조정파동은 여러 가지 패턴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조차 난해하다는 표현을 쓸 만큼 어렵기 때문에 신중히 카운팅을 해야 합니다.
다만, 엘리엇 파동의 파동분석 방법은 파동의 결과를 놓고 카운팅을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며 결과론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가를 섣불리 예측한다는 것보다 추세의 흐름을 파악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손실을 회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