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중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로 보면 성격이 다르며, 개발된 목적과 기능 또한 다릅니다. 따라서 두 플랫폼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알아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차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란 키워드는 동일하나 여러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 이더리움 | |
플랫폼 | 탈중앙화 | 탈중앙화 |
목적 | 가치 저장, 거래 매체 | 분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
기술 | POW 방식의 블록체인 작업증명방식 UTXO 기반 | POS 방식의 블록체인 지분증명방식 계정 기반 |
프로그래밍 언어 | Script | Solidity, Vyper |
코인 | BTC | ETH |
플랫폼 확장성 | 낮음 | 높음 |
코인 발행량 | 2,100만개 | 무제한 |
코인 특징 | 가치 저장 수단 | 디앱 개발 활용, 가치 저장 수단 |
규제 | SEC의 ETF 승인 | 불확실성 |
개발 목적 차이
비트코인
- 중앙 기관이 없이 개인 간 전산화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가치저장과 전송을 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 커뮤니티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화폐나 가치저장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이 다양한 디앱(DApp)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플랫폼 기반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스마트 컨트렉트를 이용하여 금융이나 게임, 공급망 관리, 신원확인 등과 같은 곳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기술적 차이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
비트코인은 모든 거래를 기록하고 보관할 수 있는 분산형 원장 기술과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OW 방식
- 작업 증명 방식, POW(Proof of work)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유저(채굴자)가 고성능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여 거래정보를 모아 블록화 하여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합의 알고리즘, 즉, 채굴을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 따라서, 컴퓨팅 파워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규모 전기가 사용되며, 이더리움과 같이 스마트 컨트렉트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술
비트코인과 동일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이지만 진화된 기능을 제공하며 블록체인 2세대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POS 방식
- 비트코인과 다른 지분 증명 방식, POS(Proof of stake)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스테이킹이란 행위를 통해 지분을 넣어놓고 네트워크에 기여함으로써 이더리움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 이때 지분을 참여(스테이킹)한 네트워크 참여자는 블록을 생성하는 검증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 기술적 특징으로는 코드를 기반한 스마트 컨트렉트를 통해 자동 실행될 수 있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코인 역할 차이
비트코인
- BTC로 불리며, 플랫폼에서 유일한 코인으로 가치 저장을 할 수 있고 때로는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 ETH로 불리며, 플랫폼을 운영할 때 사용되는 기본 토큰으로 거래 수수료 지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DApp(디앱)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유의 기술 표준이 있으며, 바로 ERC-20이란 기술 표준입니다.
- 이 기술 표준에 어긋나지 않게 DApp들이 개발되면 다양한 코인 발행이 가능합니다.
기술적 활용성 차이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확장성이 제한적입니다. 블록체인 1세대로 불리는 만큼 거래 속도가 느리고 확장성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더리움
- 비트코인보다는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다소 느린 편으로 거래 수수료 상승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가격 차이
- 비트코인은 미국의 SEC가 최초로 인정한 암호화폐이이고 시가총액이 가장 높습니다.
-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보다 시가총액이 낮지만 알트코인 중에서는 가장 높습니다.
특정 코인이나 암호화폐를 추천하는 글이 아니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를 단순히 설명하는 글입니다. 투자 책임은 본인, 스스로에게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는 매우 신중히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