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지구 저궤도에 떠있는 스타링크 위성의 개수는 6,000개 이상입니다. 2024년까지 12,000개의 위성을 배치하고 최종적으로 42,000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위성군을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타링크 위성 발사 목적
스타링크 위성은 550km 고도의 저궤도를 도는 소형위성이며,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하는 스페이스 X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록웰이란 지역에서 연구 시설, 발사장 등을 구축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죠.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하는 목적은 공식적으로는 전 세계에 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저궤도 위성 통신망을 구축하고 지구 관측 및 데이터 수집, 자연재해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통신 지원을 할 목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보았듯이 전쟁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에 통신망을 지원함으로써 스타링크의 존재감을 알렸습니다.
스타링크 위성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며 레이저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지구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설계 수명은 약 5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사 기간을 고려하면 긴 수명은 아니지만 스페이스 X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위성을 발사하며 스타링크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죠.
다만 스타링크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명도 중요한데, 저궤도 위성이기 때문에 동력을 자주 사용해야만 하는 특징이 있죠. 저궤도를 도는 특성상 지구 중력에 의해 다른 궤도보다 더 자주 대기권에 재진입하게 되기 때문에 더 빠르게 감소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태양 활동이 활발할 경우 우주 방사선의 양이 증가하여 위성의 전자 장비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우즈 쓰레기와 같은 것에 충돌할 경우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죠.
이러한 수명을 가진 스타링크는 일부 위성이 고장 나거나 파괴되더라도 스타링크 서비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발사된 위성의 숫자만 해도 대략 6000개 정도 되기 때문에 그 나머지 위성들이 충분히 작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구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할 수 있게 서비스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궁극적인 목표는 4만 2천 개의 저궤도 위성으로 지구촌 어느 지역에서나 초당 최대 1기가 비트의 속도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타링크 발사 이력
스타링크는 2019년 5월 24일 처음 발사되어 2023년 12월 기준 총 72번의 발사가 진행되었으며, 2024년 4월까지 약 6,000대가 넘는 스타링크의 위성이 지구 위를 돌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이미 스타링크의 위성은 꾸준히 상공 550km에 도착하고 있죠.
발사 날짜 | 발사 개수 | 내용 |
2019년 05월 24일 | 60 | 최초 발사, 최대 규모의 단일 발사 |
2019년 11월 11일 | 60 | |
2020년 01월 29일 | 60 | |
2020년 02월 17일 | 60 | |
2020년 03월 14일 | 60 | |
2020년 04월 22일 | 60 | |
2020년 06월 13일 | 58 | 일부 위성 궤도 이탈 사고 |
2020년 07월 30일 | 57 | |
2020년 08월 07일 | 57 | |
2020년 08월 18일 | 58 | |
2020년 10월 24일 | 60 | |
2020년 11월 25일 | 60 | |
2021년 01월 20일 | 100 | 역사상 최대 규모 |
2021년 02월 04일 | 60 | |
2021년 03월 14일 | 60 | |
2021년 04월 15일 | 60 | |
2021년 05월 09일 | 60 | |
2021년 05월 26일 | 60 | |
2021년 06월 03일 | 90 | |
2021년 07월 11일 | 90 | |
2021년 08월 10일 | 51 | |
2021년 09월 14일 | 60 | |
2021년 10월 05일 | 52 | |
2021년 10월 28일 | 60 | |
2021년 11월 11일 | 53 | |
2021년 12월 02일 | 52 | |
2021년 12월 18일 | 52 | |
2022년 01월 19일 | 49 | |
2022년 02월 03일 | 49 | |
2022년 02월 25일 | 50 | |
2022년 03월 03일 | 47 | |
2022년 03월 09일 | 48 | |
2022년 03월 18일 | 49 | |
2022년 04월 01일 | 46 | |
2022년 04월 08일 | 46 | |
2022년 04월 21일 | 46 | |
2022년 04월 29일 | 46 | |
2022년 05월 13일 | 53 | |
2022년 05월 18일 | 53 | |
2022년 06월 17일 | 53 | |
2022년 07월 07일 | 53 | |
2022년 07월 22일 | 53 | |
2022년 08월 04일 | 53 | |
2022년 08월 10일 | 53 | |
2022년 08월 19일 | 53 | |
2022년 09월 10일 | 52 | |
2022년 09월 30일 | 52 | |
2022년 10월 05일 | 52 | |
2022년 10월 28일 | 52 | |
2022년 11월 11일 | 52 | |
2022년 11월 23일 | 52 | |
2022년 12월 22일 | 52 | |
……. | ……. | |
2024년 04월 10일 | 23 | 6,189개 |
발사 주기는 2~4주에 한 번씩으로 1회 발사 당 위성의 개수는 20~60개 수준입니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발사하여 최종적으로 4만 2천 개의 저궤도 인공위성을 준비하려는 스타링크의 모습입니다. 결국 지구의 550km 상공을 바둑판처럼 연결하여 완전한 통신망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스타링크 장단점
이러한 스타링크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합니다. 장점은 기존에 없었던 전 세계 광범위한 인터넷 서비스 접근성을 제공하면서 빠른 데이터 속도와 낮은 지연시간을 자랑합니다. 또한 저궤도 위성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개인 사용자는 서비스 사용 시 부대설치 및 사용 자체가 용이하죠.
궁극적으로 스타링크 인터넷 서비스 망이 구축된다면 장소를 불문하고 버퍼링이 없는 3D 홀로그램 통신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스타링크는 키트 구매 비용과 서비스 요금 자체가 다소 높으며 설치 비용이 추가로 듭니다. 결국 다른 인터넷 서비스보다 비용이 높죠. 또한 악천후와 같은 날씨와 밀림과 같은 지역에서는 서비스 기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죠. 따라서 그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서는 인공위성군의 밀도가 높아야 합니다.
결국 현재까지는 스타링크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해상운송, 인터넷 서비스가 미약한 고객군에 한정되어 있지만, 서비스 비용이 낮아지고 인터넷 속도가 높아지면 대중적인 서비스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저궤도 인공위성 수의 중요성
저궤도 인공위성의 숫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며, 지구촌 어디에서나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스타링크 서비스를 요청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스타링크 서비스는 테슬라의 전기차에도 접목되어 있습니다. 테슬라의 전기차는 자세히 들여다보면 자동차 이전에 IT기기로 보아도 손색이 없죠. 즉, 전기차의 하드웨어가 뒷받침된다면, 테슬라가 자랑하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저궤도 인공위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지구촌 어디에서나 자율주행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구독 서비스가 가능한 거죠.
테슬라 고객은 따로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가 스타링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해나갈 것이기 때문에 고객도 모르는 사이에 지속적으로 차량의 성능은 좋아지고 있을 것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스타링크를 이용하여 차량 업그레이드도 가능합니다. 과거와 같이 카센터에 들어가서 차량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지구에 돌아다니는 모든 테슬라 차량이 스타링크의 직접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되는 일 들이 가능할 수 있죠.
결국 이러한 무선 업그레이드는 저궤도 인공위성망을 이용한 스타링크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며, 인공위성의 개수가 점점 많아질수록 서비스의 질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