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양자 컴퓨팅 기술은 초기 단계이며 더욱 많은 큐비트 수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중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는 각 회사들의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양자 컴퓨터 상용화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터 비교(구글 vs IBM vs 마이크로소프트)
3개 회사 모두 양자 컴퓨팅 기술은 유사한 듯 보이지만 다소 기술 차이가 존재합니다.
구글의 경우 양자 컴퓨팅 최초로 양자우월성(Quantum supremacy)을 기업 최초로 달성했습니다.
양자 우월성이란 기존에 슈퍼컴퓨터 성능을 능가한다는 의미이여, 큐비트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대신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그 과정을 오류 없이 수행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다소 기초과학과 같은 화학, 제약 등과 같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BM은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양자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머신러닝, 금융 등에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양자 컴퓨터 특징은 이온 트랩 큐비트를 사용했다는 점이 차별화가 있습니다. 이온 트랩 큐비트는 양성자나 음이온을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제어하는 큐비트로 안정성이 높긴 하지만 큐비트 수를 늘려 성능을 향상하기에는 다소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암호화, 보안, 머신러닝과 같은 분야를 활용하기 위해 양자 컴퓨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구글 | IBM | 마이크로소프트 | |
이름 | 시커모어(Sycamore) | 콘도르(Condor), 헤론(Heron) | 퀀텀스냅20Q(Quantumsnap20Q) |
개발시기 | 2023.7 | 2023.12 | 2023.8 |
큐비트 수 | 70 | 1000 | 64 |
큐비트 환경 | 액체 헬륨 | 액체 헬륨 | 액체 헬륨 |
냉각 물질 | 초전도 | 초전도 | 이온 트랩 |
활용분야 | 기초 과학연구 |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 클라우드 서비스 |
응용분야 | 인공지능, 화학 | 인공지능, 금융 | 인공지능, 화학 |
주요고객 | 연구기관, 기업 등 | 연구기관, 기업 등 | 연구기관, 기업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