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딩 다이아고날과 리딩 다이아고날의 원리와 발생 위치

엘리엇 파동에서는 삼각수렴 개념을 다이아고날로 부르며, 발생위치와 파동개수를 규정해서 리딩 다이아고날과 엔딩 다이아고날로 구분하였습니다. 엘리엇이 주장하는 다이아고날 패턴 발생 위치와 원리를 알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이아고날 이란?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주가 파동의 형태가 삼각형 형태로 수렴되는 패턴을 다이아고날로 부릅니다. 엘리엇은 삼각수렴이 되는 반복적인 패턴을 발견함으로써, 파동의 시작과 끝에 엔딩 다이아고날과 리딩 다이아고날 패턴으로 자주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삼각수렴이 되는 패턴은 투자자들의 심리가 반영된 파동모양으로 매수와 매도의 힘겨루기를 통해 한쪽 방향으로 결정되는 상황의 파동 패턴을 다이아고날 패턴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즉, 추세 방향이 결정되기 직전에 투자자들의 매수, 매도 압력으로 인해 한쪽으로 수렴하는 패턴이 다이아고날 패턴입니다.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엔딩 다이아고날 일수도 있으며, 리딩 다이아고날일 수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에서 삼각수렴 형태로 자주 발생되는 삼각형 파동패턴의 위치와 종류를 나열
다이아고날 형태의 파동 특징(엘리엇 파동이론)

이렇게 수렴되는 다이아고날 패턴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엘리엇은 분석하고 발견하면서 삼각형 모양에 따라 확장 쐐기형, 대각 삼각형 등 상승형과 하락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엘리엇이 주장한 대로 100% 이러한 패턴만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삼각수렴이 발생되는 원리와 개념 이해를 통해 순간순간 돌변하는 주식시장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엘리엇 파동의 삼각수렴 형태는 확장형, 수렴형, 대각형, 상승형, 하락형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나며, 각각의 하나의 파동 안에 3개(A-B-C)의 파동개수가 녹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3-3-3-3-3의 형태로 삼각형 형태가 이루어집니다.


삼각수렴 패턴이 발생하는 원리

주가의 파동은 투자자들의 매수, 매도의 움직임이며 그 움직임으로 인해 파동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로 인해 파동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각수렴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매도압력과 매수압력 비교를 통해 투자자들의 심리가 반영된 삼각수렴 파동패턴 이미지
삼각수렴 파동이 만들어지는 원리

주식의 매수 압력과 매도 압력이 서로 부딪히며 접점을 찾아가다가 결국 한쪽의 압력이 높아져 방향성이 결정되는 원리로, 매수와 매도의 힘겨루기가 결국 삼각형 형태의 파동으로 수렴됩니다.


리딩 다이아고날(선도 쐐기형, Leading diagonal)

리딩 다이아고날의 파동의 개수는 5-3-5-3-5 형태로 나타납니다. 즉 상승하는 5개의 파동과 하락하는 3개의 파동을 만들어내는 다이아고날 패턴을 말하며, 발생 위치는 상승 1 파동의 처음과 하락 A 파동의 첫파동에서 자주 출현합니다. 즉, 추세를 이끄는 파동이 리딩 다이아고날 패턴입니다.

리딩 다이아고날이 발생 위치와 특징을 나타내는 차트로기본적으로 5-3-5-3-5 파동 패턴으로 구성됩니다. 1파동과 A파동의 1파에 발생되며 리딩 다이아고날이 발생되면 그 이후 상승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주장한 대로 리딩 다이아고날 카운팅 패턴이 5-3-5-3-5 패턴으로 발생되지 않았다면 리딩 다이아고날 특징이 아니며, 리딩 다이아고날 이후 추세를 이끄는 패턴이 아닌 일반 조정파동으로 간주해서 파동 카운팅 오류를 회피해야 합니다.


엔딩 다이아고날(Ending diagonal)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은 파동의 개수가 3-3-3-3-3 형태로 나타나며, 종결 쐐기형이라고 불립니다. 즉, 엔딩 다이아고날은 추세를 끝내는 파동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발생 이후 추세전환을 준비해야 합니다.

엔딩 다이아고날이 발생 위치와 특징을 나타내는 차트로 파동의 갯수는 3-3-3-3-3 파동 패턴으로 구성됩니다. 5파동과 C파동에 주로 발생됩니다.
엔딩 다이아고날의 특징

발생 위치는 상승파동의 5 파동의 끝과 하락파동의 C파의 마지막 파동에서 나타나며, 추세전환을 준비하듯이 주식시장의 매수 압력이 약해지면서 투자자자들의 심리가 반영되어 자연스럽게 삼각수렴 형태로 발전되며 이후 추세전환이 이루어집니다. 엔딩 다이아고날의 성립조건은 리딩 다이아고날과 마찬가지로 엘리엇 파동기준에 따라서 3-3-3-3-3의 파동개수가 나타나지 않으면 조정파동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시사점

엘리엇도 변칙적인 파동 패턴들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었습니다. 대표적인 파동 패턴이 있을 뿐 여러 가지 변칙적인 패턴이 존재하다고 여겼습니다. 엘리엇 이후 A.J 프로스트가 조정파동에 대해서도 세분화하여 이중, 삼중 지그재그 등 여러 패턴들을 세분화 하였지만, 주식시장에서 나타나는 모든 파동을 정의할 수 는 없습니다. 따라서 본인만의 투자 소신과 철학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모습이 필요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