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이론의 파동 비율 원리

엘리엇 파동이론의 파동 비율은 이탈리아 수학자였던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의 수열을 따릅니다. 엘리엇이 발견한 반복적인 파동에 피보나치 수열을 접목시킴으로써 파동의 성장비율을 제시하였으며, 그 발생 원리를 알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 비율의 원리

파동이 어디까지 발생하지 예상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영역에 가깝지만 파동의 움직임을 1차 지지선, 2차 지지선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면 매도, 매수를 대응하면서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먼저 피보나치 수열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합니다.

피보나치 수열 원리

피보나치 수는 1, 1, 2, 3, 5, 8, 13, 21, 34 등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나열되어 있는 숫자들 중 앞에 두 가지 숫자를 더하면 아래와 같이 피보나치 수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 숫자들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비율이 대표적으로 1.618 비율이란 특징이 있으며, 황금비율이라고도 불립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의 파동 비율을 알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수열을 이해해야하며 그 원리를 설명하는 표
피보나치 수열에 대한 비율

공교롭게 모든 피보나치 수의 비율이 일정한 비율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엘리엇은 피보나치 수열을 본인에 파동이론에 접목시켜 주가의 파동 비율을 제시하여 엘리엇 파동이론을 완성하였습니다.


엘리엇 파동 비율

엘리엇 파동이론의 파동 비율은 피보나치 수열을 근간으로 하며 특정 비율이 존재한다고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비율은 황금비율인 1.618 비율 혹은 0.618 비율입니다. 실제로 현실세계에서 존재하고 있는 고대 건축물인 피라미드의 높낮이, 그리스 신전의 높낮이 등의 비율이 신기하게 1 : 1.618 비율이 적용되어 있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엘리엇은 이러한 비율을 본인의 파동이론에 적용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엘리엇 파동비율을 설명한 차트로 상승 5 파동에서 0.382 구간과 0.618 구간을 나누어 설명한 차트
대표적인 엘리엇 파동비율

대표적인 엘리엇 파동을 기준으로 실제 나타나는 비율은 위와 같이 0.618 비율과 0.382 비율로 파동위치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외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나며, 파동이 끝난 후 알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섣불리 예단해서 매수, 매도를 하게 된다면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파동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표현이 있는데, 이 의미는 주가 상승분을 다음파동에서 반납하고 주가를 다시 되돌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되돌림 파동도 비율을 대입할 수 있는데, 이때 상승파동을 1이라고 보았을 때 0.618 비율로 되돌리는지 0.382 비율만큼 되돌리는지 여부를 엘리엇 파동비율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파동비율을 매매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1 파동 상승 이후 2 파동이 어디까지 하락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총 3 가지 피보나치 비율인 0.236 비율, 0.382비율, 0.618비율을 1차, 2차, 3차 지지선으로 활용함으로써 매도 포지션을 잡을 수 있습니다.


3 파동 연장 비율, 5 파동 연장 비율

이외에도 엘리엇은 주가파동에서 자주 나타나는 3파, 5파 연장파동을 언급하였는데, 피보나치 비율을 응용하면서 3파 연장파동의 비율5파 연장파동 비율을 제시하였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 이하면 3파동과 5파동에서 연장파동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비율은 1.618배와 2.618배로 나타나는 차트를 설명
3파동과 5파동 연장 비율

3파 연장파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율은 1.618 비율과 2.618 비율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장파동이 발생하는 이유는 끊임없이 매수의 힘이 시장에 유입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강력한 상승장으로 말할 수 있으며, 따라서 5개의 연장파동이 나타납니다.

총 9개의 파동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1.618 비율 혹은 더 강력한 2.618배의 상승 비율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5파 연장파동도 3파 연장파동과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발생되며, 발생하는 위치만 다를 뿐입니다.

위와 같은 파동은 수없이 다양한 패턴과 변형으로 파동 비율은 발생할 수 있으며, 결국 파동이 완성된 후에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파동을 예측을 한다는 점은 멀리해야 하며, 다만 파동 채널링 매매기법과 같이 비율의 위치를 지지선으로 잡아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