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은 상승 5 파와 하락 3 파를 갖는 반복적인 주가의 파동패턴으로,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여 상승과 하락 방향, 비율을 알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주가의 파동을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엘리엇 파동에도 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엘리엇 파동 단점
주식 차트를 분석할 때는 다양한 보조지표와 매매기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수많은 보조지표들도 존재합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참고만 해야 될 지표들이며, 100% 예측을 한다거나 맹신을 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따라서 본인에게 맞는 보조지표와 매매기법들의 장점과 단점을 찾아서 투자 철학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엘리엇 파동도 여러 가지 분석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점 또한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 1. 엘리엇 파동은 주가 상승과 하락 타이밍의 시간적 개념은 담고 있지 않습니다. 자동 시스템 매매처럼 언제 상승하기 때문에 매수를 하고, 언제 하락이 되니 매도를 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이론은 없습니다.
- 2. 엘리엇 파동이론은 1920년대에 만들어진 주식 매매기법이며, 특정 종목이 아닌 주가 지수와 더욱 잘 어울린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21세기 빠르게 전개되는 주식시장에서 과연 고전 매매기법이 어울리는지 판단을 해야 합니다.
- 3. 파동 카운팅 오류가 존재합니다. 이와 같은 카운팅 오류는 파동이 끝난 이후 오류가 있었다는 걸 알 수 있기 때문에, 누구도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4. 정확한 파동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파동이 완성되고 난 후에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조정파동 중 지그재그 패턴으로 전개되다가 상승 임펄스 파동으로 전개되는 움직임이 보이면서 갑자기 하락추세로 전환되는 경우 상승 임펄스 파동이 아닌 이중 지그재그 패턴이었다는 것을 파동 완성 이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동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절대 100% 장담할 수 없으며, 모든 경우의 수를 두고 매수, 매도 대응을 해야 합니다.

주가의 움직임은 살아있는 생물과 같기 때문에 주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이 엘리엇 단점을 정확히 알고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게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