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의 반등을 파악하는 방법 중에는 역헤드앤숄더 패턴 출연의 여부가 있습니다. 역헤드앤숄더 패턴은 주가가 저점 국면임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반등신호로 여길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파동 패턴으로만 해석하는 경우이며 파동이 끝날 때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역헤드앤숄더 패턴 출연
주식 투자 매매방법들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투자 기간으로 보면, 단기투자, 중기투자, 장기투자 형태로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장기투자를 선호하면, 주가의 움직임인 파동패턴은 일봉으로 보는 방법이 적당할 수 있으며, 그 일봉의 움직임이 변동성이 적은 우량주에서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그린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가치가 있습니다.
다만 추가적으로 기업의 사업방향, 경영상황, 재무 상태 등을 복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이렇게 주가의 파동 패턴에 그려지는 모양에 따라 불려지는 이름이 다른데, 역헤드앤숄더 패턴은 저점국면을 지나고 반등국면을 나타나는 주가의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단지 엘리엇 파동이론 기준이기 때문에 투자 시 여러 가지 검토 사항 중 한 가지로 바라보아야 적당할 것 같습니다.
아래 차트는 변칙적인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유형입니다.
현재 파동은 진행 중이며 전고점을 지지하면서 반등하게 되면 반등 시그널인 역헤드앤숄더 패턴으로 말할 수 있지만 전고점을 지지하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조정파동으로 간주됩니다.

순수하게 파동이론으로 보면
회색선과 같이 전고점을 지지하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역헤드앤숄퍼 패턴은 실패하게 되며 조정파동으로 보고 조정파동 카운팅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파란색 지지선을 기준으로 반등하게 되면 역헤드앤숄더가 출연하면서 반등하는 파동의 움직임이 그려집니다. 이후에도 파동의 움직임을 계속 지켜봐야 합니다. 큰 조정파동의 일부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동이론은 결과론적이기 때문에 파동 진행 중에는 패턴의 출연 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파동이론만으로 투자를 한다는 것은 가능할 수 있지만, 반대로 더욱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본인만의 투자철학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파동이론으로 보는 매수 매도 타이밍
파동이론을 기준으로 매도와 매수 타이밍을 확인하는 방법은 어디까지나 파동이 끝난 기준으로 파동을 설명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동이 진행하고 있다면 누구도 쉽게 파동 움직임을 얘기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만큼 주가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엘리엇 파동이론만으로 설명하면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출연여부를 파악할 후 있습니다.

결과론적으로 역헤드앤숄더 패턴이란 반등하는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파동의 모양이며, 역헤드앤숄더 패턴이 발생되어서 반등이 했다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반등하는 파동의 모양이 역헤드앤숄더 모양입니다.
현재 파동이 진행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역헤드앤숄더가 출연했다고 볼 수는 없으며, 파동이 마무리되면 반등에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파동이론에 의한 매매기법 이외에서 수많은 매매기법들이 존재하지만, 이해를 돕고자 하나의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만약 파동이론으로 모든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면 누구나 성공투자를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반증에 이유입니다.
이 글은 절대 매수, 매도를 권하지 않으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투자철학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