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X가 쏘아 올린 스타링크와 국제 정세 불안으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우주항공 산업은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 주도의 우주 항공분야의 투자 확대, 그로 인해 민간 참여 증가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주항공 기업 및 주요 지표 설명
우주항공 기업과 분야를 공부하는 내용으로 정리하는 글이며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랍니다.
우주 항공 관련 기업 주요 내용
주요기업 | 사업분야 | 사업내용 | 주요 지표(2023년) | 변동성 |
한국항공우주 | 항공기 우주선 위성 방산 | KF-21 전투기 양산 해외시장 진출 | 시가총액 : 5.2조 매출액 : 3.8초 영업이익율 : 6.4% 부채비율 : 340% 배당금 : 500원 | 국방 예산 변동 국제 정세 불안 |
LIG 넥스원 | 방산 우주 | 국내 최대 방산 업체 발사체 개발 인공위성 부품 개발 | 시가총액 : 3.6조 매출액 : 2.3초 영업이익율 : 8.0% 부채비율 : 262% 배당금 : 1950원 | 국방 예산 변동 국제 정세 불안 |
한화시스템 | 방산 정밀기계 전자 에너지 | K9자주포, K2탱크 생산 국방부, 해외 군수기관 방공시스템 항공우주 | 시가총액 : 3.4조 매출액 : 2.4초 영업이익율 : 3.8% 부채비율 : 108% 배당금 : 280원 | 국방 예산 변동 국제 정세 불안 |
ROE(Return on Equity) : 자기 자본 순이익률
회사가 주주들에게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자기 자본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회사가 자기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15% 이상이 되면 높게 평가되죠.
하지만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 ROE가 과장될 수 있으며, 업종마다 수익성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과 비교 평가해야 됩니다.
- 순이익/자기 자본 * 100%
PBR(Price to Book Ratio) : 주당순자산가치비율
주가를 한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냅니다. 1을 기준으로 PBR이 낮을수록 기업의 자산 가치가 저평가되었다는 뜻이죠. 쉽게 생각하면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팔아서 똑같은 회사를 만들 수 있다면 1이고, 두 개를 만들 수 있다면 PBR이 2로 판단하면 됩니다.
다만 PBR이 모든 걸 완벽하게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성장성 수익성, 환경 등을 같이 봐야 하며 부채가 많은 기업도 PBR이 낮을 수 있죠.
- 주가/한 주당 순자산 가치
PER(Price to Earnings Ratio) : 주당수익률
주가를 한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수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는 지표죠. PER가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뜻이지만, 기업 가치, 성장성, PBR, 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합니다.
결국 성장 가능성만으로도 PER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단순 PER로만 기업가치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 주가/한 주당 순이익
한국항공우주 사업 분야
1. 항공우주 :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항공기 등 항공우주 제품 개발 및 생산
- 주요 고객 : 정부기관, 해외 항공우주 기업
- 주요 제품 : 나로호 우주발사체, KOMPSAT 인공위성, KAI KF-21 전투기 등
- 주요 사업 : 인공위성 개발 및 발사, 우주 발사체 및 항공기 개발, 생산
2. 방산 : 다양한 방산 제품 생산 및 수출
- 주요 제품 : 헬기, 무인기, 방공 시스템, 무기체계 등
- 주요고객 : 국방부, 해외 군수 기관
- 주요 사업 : 헬기 생산 및 유지 보수, 무인 항공기 개발 및 생산, 방공 시스템 구축 등
3. 정밀기계 : 항공기 부품, 자동화 시스템 등 정밀 기계 생산
- 주요 고객 : 항공우주 기업, 자동차 산업 분야
- 주요 제품 : 항공기 엔진 부품, 랜딩 기어, 로봇 시스템 등
4. 변동성 체크
정부의 우주항공 및 방산 예산에 따라 매출 변동이 발생하기 쉬우며, 국제 우주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심화되는 점, 국제 정세 불안에 따라 매출과 수익성이 빠르게 반영된다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1.12 | 2022.12 | 2023.12 | 2024.12(E) | |
매출(억) | 25,623 | 27,869 | 38,193 | 37,585 |
영업이익률 | 2.27 | 5.08 | 6.48 | 6.28 |
순이익률 | 2.08 | 4.16 | 5.8 | 5.28 |
부채비율 | 351.29 | 434.84 | 340.73 | |
ROE | 5.18 | 8.78 | 14.81 | 11.91 |
PBR | 2.49 | 3.47 | 3.05 | 2.84 |
PER | 49.5 | 41.88 | 21.76 | 24.99 |

LIG 넥스원 사업분야
1. 방산 : 다양한 방산 제품 생산 및 수출
- 주요 제품 : 잠수함, 전투기, 방공 시스템, 무기체계
- 주요 고객 : 국방부, 해외 군수 기관
- 주요 사업 : 잠수함 개발, 전투기 생산 및 유지 보수, 방공 시스템 구축 등
2. 정밀기계 : 반도체 제조 장비, 자동화 시스템 등 정밀기계 생산
- 주요 고객 : 반도체 제조업체, 자동차 산업, 일반 산업 분야
- 주요 제품 :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 리소그래피 장비, 로봇 시스템 등
3. 변동성 체크
국방 예산 : 국방 예산 규모 및 증가율에 따라 방산 사업 매출 변동 가능성 높음
반도체 시장 : 반도체 시장 상황에 따라 정밀기계 사업 매출 변동 가능성 높음
2021.12 | 2022.12 | 2023.12 | 2024.12(E) | |
매출(억) | 18,222 | 22,208 | 23,086 | 30,392 |
영업이익률 | 5.33 | 8.06 | 8.07 | 7.69 |
순이익률 | 5.76 | 5.54 | 7.58 | 6.35 |
부채비율 | 237.59 | 222.16 | 262.59 | |
ROE | 14.63 | 14.48 | 17.61 | 16.99 |
PBR | 1.96 | 2.15 | 2.7 | 2.94 |
PER | 14.37 | 16.5 | 16.41 | 18.71 |

한화시스템 사업분야
한화 시스템의 사업내용은 크게 방산, 정밀기계, 전자, 에너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1. 방산 : 탱크, 포, 무기체계 등 방산 제품 생산
- 주요 고객 : 국방부, 해외 군수 기관
- 수주이력 : K9 자주포, K2탱크, 천궁2 지대공 미사일
2. 전자 : 방공 시스템, 전자 부품, 통신 시스템 등의 제품 생산
- 주요 고객 : 국방부, 항공우주 산업 등
- 주요 제품 : 레이더, 항공전자 시스템 등
3. 정밀기계 : 반도체 제조 장비, 자동화 시스템 등
- 주요 고객 : 반도체 제조업체, 자동차 산업 등
- 주요 제품 : 웨이퍼 핸들링 시스템, 리소그래피 장비, 로봇 시스템 등
4. 에너지 : 태양광, 풍력,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 주요 고객 : 정부기관, 민간, 해외 고객
- 주요 사업 : 태양광 발전소 건설, 풍력 터빈,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개발 등
5. 변동성 체크
국방 예산의 증가율에 따라 방산 사업, 매출 변동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밀기계 사업 매출도 반도체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제 정세가 불안할수록 방산 사업의 매출 증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라 매출 변동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1.12 | 2022.12 | 2023.12 | 2024.12(E) | |
매출(억) | 20,895 | 21,880 | 24,531 | 27,550 |
영업이익률 | 5.36 | 1.79 | 3.79 | 4.81 |
순이익률 | 4.68 | -3.69 | 13.99 | 4.2 |
부채비율 | 77.87 | 95.43 | 108.12 | |
ROE | 6.04 | -3.63 | 16.87 | 5.34 |
PBR | 1.35 | 0.99 | 1.52 | 1.53 |
PER | 24.51 | -26.03 | 9.39 | 29.79 |

우주 항공 관련 산업 분야에서 주요 기업인 항공우주, LIG 넥스원, 한화시스템의 매출은 3개년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실적들도 개선되는 모습이 보이며, 글로벌 보호주의가 강화됨에 따라 방산, 우주항공 분야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국제 사회의 분쟁 등과 정부의 정책에 따라 사업운영에 대한 부분과 수익성이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를 계속 모니터링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니며, 정리하는 글입니다. 모든 투자는 신중하게 해야 하며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