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20 토큰은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20의 약자이며,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된 토큰을 위한 기술 표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RC-20 토큰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ERC-20 토큰 개념
ERC-20 토큰을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어느 헬스클럽은 회원들에게 멤버십 카드를 발행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합니다. 멤버십 카드는 헬스클럽에서 활동하기 위해서 회원들은 의무적으로 지참되어야 하고 클럽의 규칙을 지키며 활동해야 합니다.
- 헬스클럽 : 블록체인 네트워크
- 멤버십 : ERC-20 토큰
- 회원 : ERC-20 토큰 소유자
이와 같이 ERC-20의 개념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을 발행하면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그룹이 따라야 할 기술표준이며, 개발자들이 쉽게 토큰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ERC-20 토큰은 서로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생태계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ERC-20 토큰 활용 분야
금융 분야
- 스테이블 코인 : USDT, DAI 등
- 유틸리티 토큰 : 바이낸스 코인(BNB), 후오비 토큰(HT) 등
- 거버넌스 토큰 : 컴파운드(COMP), 메이커(MKR) 등
게임 분야
- 화폐 : 마나(MANA), 샌드박스(SAND) 등
예술 분야
- NFT : 크립토 펑크 등
- 음악 : 세타퓨얼 등
- 소장품 : 엔진 코인(ENJ) 등
이외에도 데이터, 공급망, 신원 관리 프로젝트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ERC-20 토큰의 기술 표준
ERC-20의 기술 표준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은 대표적인 기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토큰 이름 : 토큰 이름을 정의해야 합니다.
- 토큰 심볼 : 토큰의 심볼, 약어를 정의해야 합니다.
- 소수점 : 토큰의 분할 단위를 정의해야 합니다.
- 총 발행량 : 계획된 토큰의 총 공급량을 정의해야 합니다.
- 잔액 : 계정이 보유한 토큰의 수량을 정의해야 합니다.
- 거래 : 토큰을 다른 주소로 보내는 기능을 정의해야 합니다.
- 승인 : 다른 계정이 자신의 토큰을 허용하는 기능을 정의해야 합니다.
ERC-20 기술 표준을 좀 더 상세하게 대략 3가지 범위로 구분하면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 기본정보 표준
- 토큰 잔액 및 거래 정보 표준
- 토큰 정보 표준
1. 기본정보
기능 | 설명 | 예시 |
토큰 이름 | 토큰 이름 | Token |
토큰 심볼 | 토큰을 나타내는 약어 | TOK |
소수점 | 토큰 분할 단위 | 18 |
총발행량 | 발행 될 총 공급량 | 1,000,000,000 |
2. 토큰 잔액, 거래 정보
기능 | 설명 | 예시 |
잔액 | 계정이 보유한 토큰 수량 | 1,000 |
거래 | 토큰을 다른 계정으로 보내는 기능 | transfer() |
전송 승인 | 특정한 계정이 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잔여 금액 | allowance() |
잔액 조회 | 특정 계정의 토큰을 조회하는 기능 | balanceof() |
3. 토큰 정보
기능 | 설명 | 예시 |
토른 이름 가져오는 기능 | 토른 이름 가져오는 기능 | name() |
토큰 심볼 가져오는 기능 | 토큰 심볼 가져오는 기능 | symbol() |
소수점 가져오는 기능 | 소수점 가져오는 기능 | decimals() |
총 발행량 가져오는 기능 | 총 발행량 가져오는 기능 | totalsupply() |
ERC-20 토큰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기술 표준을 따라야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호환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이 앞으로 다양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때로는 문제가 될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무분별하게 진행되면서 투자자들에게 큰 위험을 주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은 초기 단계인 만큼 투자는 각별히 신중해야 합니다.
투자는 본인의 책임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