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 종류, 개념, 선정방법

이동평균선은 주식 차트 분석 시 기본이 되는 자료입니다. 일정 기간의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방향과 움직임이 어떻게 움직였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개념을 이해하면 분석할 때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의 개념

이동평균선은 특정기간 동안 산술적인 평균에 의해 계산된 값을 연결하여 차트에 나타나는 연속되는 선입니다. 즉, 대표적으로 현재 기준 대비 과거에 주가의 움직임이 어떻게 움직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지선, 저항선 등 여러 형태로 강력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차트 분석 시 이동평균선을 단순하게 확인하는 것보다는 정확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다른 기술적 지표들과 같이 활용하여 차트를 분석하게 되면 좀 더 파워풀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동평균선 종류

이동평균선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 이동평균선과 가중 이동평균선 그리고 지수 이동평균선으로 구분됩니다.


단순 이동 평균선(MA : Moving Average)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선택한 N일 동안 주가의 평균 종가(거래소 마감 주가)입니다. 다만, 현재보다는 N일 동안 평균이기 때문에 현재와 거리가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가중 이동평균선(WMA : Weighted Moving Average)

단순 이동평균선을 베이스로 하며, 오늘의 주가에 가중치를 두어 N일의 평균 종가를 나태냄으로써 현재의 상황을 반영함으로써 차트에서는 단순 이동 평균선 보다 빠르게 반응합니다. 즉, 최근 주가의 움직임이 좀 더 반영된 이동평균선입니다.

지수 이동평균선(EMA :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 이동평균선은 평활지수를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더욱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여기에서 평활지수란 시계열을 사용하여 평균을 낸 값으로 최근 시점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는 예측기법에 사용되는 지수입니다.

3일간의 각각의 이동평균선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으며, 공식을 보면 각각의 이동평균선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로는 단순 이동평균선, 가중 이동평균선, 지수 이동평균선이 있으며 각각의 이동평균선을 구하는 공식으로 3일간 이동평균선을 적용했을때 실제로 적용하는 공식 포함
3일 이동평균선을 구하는 방법

3가지 이동평균선을 동일하게 차트에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지수 이동평균선이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실시간에 가까운 반응으로 주가가 꺽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동일한 종목에 단순이동평균선, 가중 이동평균선, 지수 이동평균선을 표현한 차트
동일한 종목에 단순이동평균선, 가중 이동평균선, 지수 이동평균선 차트

이동평균선 선정하는 방법

본인 스스로 단기 투자 성향인지 장기 투자 성향인지에 따라 이동평균선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장기투자는 단순 이동평균선이 유리하며, 단기 투자는 지수 이동평균선이 유리합니다.

이동평균선을 저항선과 지지선으로 사용할 경우 어떤 이동평균선을 선정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많은 경험을 통해 60일, 120일 등 본인에게 맞는 이동평균선을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30, 60, 120일 등 여러 패턴으로 경험하면 본인에게 맞는 일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을 선정하였다면, 아래와 같이 어떻게 이동평균선을 활용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 골든크로스와 데드 크로스를 이용하여 활용
  • 정배열과 역배열 구간을 활용
  •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사용하여 활용

이동평균선으로 저항선과 지지선으로 매수 매도를 하게 되면 철저하게 스스로의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그래야 큰 수익은 아니지만 큰 손실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많은 경험이 필요한 점은 불변하기 때문에 본인만의 투자철학을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