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표를 활용하여 상승 시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양한 매매기법들로도 그 기준에 맞는 매매기법이 있지만, 일목균형표만 가지고 있는 구름대를 비롯한 5개의 지표를 이해하고 원리를 활용하면 주가의 상승 시점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의 5가지 지표
일목균형표를 완성한 일목산인은 일목균형표에 5개 의미 있는 지표를 만들어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고자 했습니다. 본인의 주식 연구를 통해 특정 숫자들을 발견하고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이론을 완성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다소 복잡하지만 5개의 지표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전환선 : 9일간 최고점과 최저점 ÷ 2
- 기준선 : 26일간 최고점과 최저점 ÷ 2
- 선행스팬 1 : 전환선 값 + 기준선 값 ÷ 2를 미래의 26일 앞에 이동시켜 놓은 값
- 선행스팬 2 : 52일간 최고점과 최저점 ÷ 2를 미래의 26일 앞에 이동시켜 놓은 값
- 후행스팬 : 단순히 현시세를 26일 뒤로 옮겨 놓은 값
일목균형표로 주가의 상승 시작점 확인하는 방법
이러한 일목균형표의 5대 지표를 가지고 주가의 상승하는 시작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선과 전환선의 관계 속에서 선행스팬을 이용한 구름대를 기준으로 주가가 상승 돌파하는지 하락 돌파 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면서 상승 시점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는 특정 5대 지표에 대해 많은 의미를 두었으며, 각 지표들을 종합하여 활용한다면 상승 시점 포착 확률을 좀 더 높일 것으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1. 후행스팬이 주가를 뚫어야 상승 시작점으로 여기며, 주가보다 위에 위치해야 합니다. 주가의 추세와 후행스팬 방향이 등간격으로 일치하고 유지하는 모습이 보여야 상승 추세가 유지됩니다.
2. 전환선(9일간 최고점과 최저점 ÷ 2)이 기준선(26일간 최고점과 최저점 ÷ 2)을 뚫어야 상승 신호로 여깁니다. 이 개념은 이동평균선의 골드크로스와 개념이 유사합니다.
3. 2번과 동시에 전환선이 구름대를 뚫고 상승해야 상승 시그널로 여깁니다. 만약 구름대가 저항선 역할을 하여 주가가 구름대를 부딪히고 하락한다면 하락추세를 대비해야 합니다.
4. 일목균형표에서는 기본수치와 대등수치와 동일하면 주가에 변화가 발생할 거라는 결정적 변화일에 대한 이론을 주장하였습니다.
5. 따라서 일목균형표 기준으로 바라보면 기본수치과 대등수치가 유사하면 주가의 변곡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주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적 변화일과 상승 시그널을 포착하면 상승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기본수치(시간론) : 일목균형표에서 제시하는 특정 숫자로 9, 17, 26, 33, 42, 65, 76, 129, 226, 676이 기본수치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 대등수치(시간론) : 과거의 시간은 미래 시간과 대등하다는 개념으로 만약 오늘 기준으로 과거 33일 만에 하나의 파동이 마무리되면 다음 새로운 파동은 33일 이후에 발생된다는 논리로 일목균형표에서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이렇게 일목균형표는 다소 복잡한 이론이지만 위의 조건들에 부합한다면 주가가 상승하는 시작점을 포착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원리로 된 매매기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