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 균형표 매매기법 보는법 (의미, 매매 원리)

일목균형표를 활용하여 보는 법은 다양합니다. 선행스팬 1과 2를 활용하여 구름대를 확인하는 방법, 전환선과 기준선의 관계를 활용하는 방법, 후행스팬을 활용하는 방법 등 일목 균형표만이 가지고 있는 분석방법으로 매매 타이밍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구름대를 활용하여 보는 법

전환선과 기준선을 활용하여 보는 법

후행스팬을 활용하여 보는 법



일목균형표만 가지고 있는 5가지 중요한 의미

일목균형표는 아래 5가지 추세선을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주가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는 매매기법입니다.

  • 전환선(Conversion Line) : 9일 이동평균선 개념으로, 오늘을 기준으로 과거 9일간 최고 가격 + 최저 가격 / 2의 값입니다. 즉, 단기 이동평균선의 개념입니다.
  • 기준선(Base Line) : 26일 이동평균선 개념으로, 오늘을 기준으로 과거 26일간 최고 가격 + 최저 가격 / 2의 값입니다. 즉, 중기 이동평균선 개념입니다.
  • 선행스팬 1 (Leading Span 1) : 전환선 가격 + 기준선 가격 / 2의 값을 26일 앞으로 이동시켜 놓은 값이며, 단기 시세를 선행한다는 개념입니다.
  • 선행스팬 2 (Leading Span 2) : 오늘을 기준으로 과거 52일간의 최고가격과 최저가격 / 2의 값을 26일 앞으로 이동시켜 놓은 값이며, 중기 시세를 선행한다는 개념입니다.
  • 후행스팬(Lagging Span) : 현재 시세를 단순히 26일 뒤로 이동시켜 놓은 값입니다.

일목균형표를 보기 위해서는 5개 추세선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아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름대를 활용하여 보는 법

일목균형표 구름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선행스팬(Leading Span) 1과 선행스팬(Leading Span) 2의 움직임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는 현재 기준 26일 앞이 이동시켜 놓은 값이기 때문에 크로스 되는 지점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 이유는 선생스팬 2는 52일간의 가격이기 때문에 26일인 선행스팬 1보다 추세선의 움직임이 둔감하기 때문입니다.

일목균형표의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움직임에 따라 구름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차트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의 구름대 차트

따라서 26일 앞에 있는 두 선이 크로스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양운(매수 힘)과 음운(매도 힘)으로 전개되면서 구름대가 형성됩니다.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를 교차하면서 상승하면 매수 시그널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때 양운(+)의 구름대가 형성이 됩니다. 반면에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를 하방 크로스를 하게 되면 매도 시그널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음운(-)의 구름대가 형성됩니다.

구름대를 활용하면서 보는 방법은 미래 26일 앞의 주가를 선행해서 예측할 수 있다는 개념이기 때문에, 구름대를 기준으로 주가가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 여부 판단하여 향후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원리적으로 보면, 현재 시세 기준으로 미래 26일까지 주가 상승을 가정한다면 구름대를 상승돌파하고 이후 주가와 구름대의 간격이 벌여지면서 강력한 상승장에 놓여 있을 것입니다.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설명하는 차트로 구름대 위에 주가가 형성되는 과정과 구름대 아래에서 주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차트
일목균형표 구름대 보는 법

1. 주가가 구름대를 뚫고 상승을 시작합니다. 구름대를 뚫고 상승을 한다는 것은 강력한 매수세일 때 가능합니다.

2. 주가가 구름대를 지지하면서 상승장을 이어갑니다. 만약 구름대가 뚫리면 하락장을 대비해야 합니다.

3. 주가에 의해 구름대가 뚫리면서 하락돌파합니다. 주가가 하락방향으로 구름대를 뚫는다면 매도 타이밍을 잡아야 합니다.

4. 주가가 구름대를 뚫고 상승을 다시 시작합니다.

5. 구름대가 지지선 역할을 하며 주가가 반등에 성공

6. 다시 구름대가 뚫리면서 주가는 하락방향으로 추세를 결정하는 모습입니다.

7. 주가가 구름대를 돌파하기 위해 시도를 하였지만 실패

8. 다시 한번 구름대를 돌파하기 위해 시도하였지만 실패 후 하락

이렇게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활용하여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 추세를 볼 수 있습니다.


전환선과 기준선을 활용하여 보는 법

앞서 얘기한 것처럼 전환선은 9일간의 주가의 변화를 추적하는 의미이고, 기준선은 26일간 주간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단기 이동평균선과 중기 이동평균선의 방향성을 관찰하는 의미로 전환선과 기준선이 크로스 되는 지점을 포착하여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고자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환선과 기준선의 움직임으로 주가의 변곡점을 포착하여 매수, 매도 타이밍을 포착하고자 했습니다.

일목균형표 전환선과 기준선을 활용하여 보는 방법으로 쉽게 설명하면 9일 이동평균선과 26일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주가의 지지와 저항을 설명하는 일목균형표 차트
일목균형표 전환선과 기준선 보는법

기준선(26일간 주가평균 개념)이 주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전환선(9일간 주가평균 개념)이 지속적으로 반등하는 상승추세의 차트입니다. 반면에 하락추세에서는 기준선이 저항선 역할을 하여 전환선이 반등을 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개념입니다.

다만 일목균형표의 정확한 전환선의 의미는 9일 중에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 값이며, 기준선의 의미는 26일간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이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이동평균선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개념은 유사합니다.

결론적으로 일목균형표의 전환선과 기준선은 최근시세가 중기시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지 낮게 형성되어 있는지 볼 수 있으며, 두 선이 크로스 되는 시점에 매매 타이밍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후행스팬을 활용하여 보는 법

일목균형표의 후행스팬 핵심의미는 주가의 변곡점을 포착하는 것입니다. 즉 주가의 파동과 26일 뒤로 이동시킨 주가의 방향이 동일해지면 주가는 상승이던 하락이던 추세방향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현재 주가와 26일 전의 후행스팬이 시차를 의도적으로 발생시켜 과거의 의미는 단순히 오늘의 시세를 26일 뒤로 이동시켜 놓은 값입니다.

일목균형표 후행스팬을 설명하는 차트로 주가와 후행스팬이 동일한 방향으로 놓여지면 추세의 변곡점이 발생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차트
후행스팬 보는 법

위에 차트처럼 후행스팬과 주가의 26일간 시차로 인해 물결무늬와 같은 그림자처럼 주가를 쫓아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유한 특정한 패턴이 나타나는데, 서로 만나고 헤어지는 관계를 반복하다가 어느 순간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하여 움직일 때가 나타납니다.

일목균형표에서는 이때를 주가의 변곡점으로 보고 머뭇거리던 추세가 결정이 된다는 신호로 해석합니다. 이 의미가 바로 후행스팬을 사용하여 보는 법입니다.

따라서 후행스팬은 주가의 추세결정 변곡점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매매 타이밍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