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펄스 파동은 충격파동이라고도 부르며,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즉, 추세가 정해지면 상승이던, 하락이던 충격파동이 발생하며 추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임펄스 파동의 전개 과정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임펄스 파동 전개 과정
기본적으로 상승 방향의 임펄스 파동은 거래량 상승과 함께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결국 주식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 필요조건이며, 그때 발생되는 특정한 파동 움직임을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제시하였습니다.

1 파동 전개 과정
- 임펄스 파동이 발생되면 시작점인 1파동은 거래량이 폭발하면서 단숨에 전고점을 넘어서 상승하게 됩니다.
2 파동 전개 과정
- 2 파동의 위치가 중요한데, 전고점(하락 4파)을 지지해야만 강력한 3 파동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지지선이 뚫리고 하방돌파 되면 임펄스 파동이 아니고 조정파동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 의하면 2 파동의 깊이로 3파동의 상승 에너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2 파동의 깊이가 얕으면 얕을수록 3 파동이 강력하게 발생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1 파동의 되돌림 조정파동 비율은 0.236, 0.382, 0.618 비율입니다.
3 파동 전개 과정
- 동일하게 전고점(하락 2파)을 상승돌파해야 하며,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때 파동 비율은 1 파동 대비 1.618 배로 상승하며, 강력하게 발생될 경우 2.618배로 상승합니다. 전체 과정 중 가장 안전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구간은 1 파동 고점을 넘어서는 지점부터가 리스크가 가장 적을 때로 알려져 있습니다.
4 파동 전개 과정
- 2 파동과 동일하게 지지선 위치가 중요하며, 전고점(하락 2파)을 지지하며 상승 5 파동을 준비합니다.
5 파동 전개 과정
- 4 파동의 고점을 넘어서면서 과거 하락시작점을 넘어서면 5 파가 완성될 확률이 높습니다
순수하게 엘리엇 파동이론을 기준으로 보면 일반적인 임펄스 파동의 움직임 과정은 이와 같이 발생되며, 만약 강력하게 나타나면 3 파동에서 연장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거나 5 파동에서 연장이 나타날 때가 있는데 대부분 3 파동에서 나타난다고 엘리엇은 주장했습니다.
결국, 상승 임펄스 파동은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되며, 5 파동까지 완성되면 임펄스 파동이 완성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임펄스 파동의 시작점 모양은 흔히 알고 있는 역헤드 앤 숄더 모양입니다.
이외에, 엘리엇 파동이론에 부합하지 못하는 조건으로 파동이 발생하면 조정파동으로 간주되어야 하기 때문에 파동 카운팅 오류가 없어야 합니다.
다만, 모든 주식 매매기법이 그렇듯이 완벽한 매매기법은 없기 때문에 본인만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먼저 선정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