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장판은 따뜻하지만, 전자파 걱정이나 화재 위험 등으로 인해 다른 난방 방법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전기장판 이외에 따뜻하게 난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에너지 절약 팁도 있습니다.
따뜻한 난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
1. 온수매트
물 온도 조절을 통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작동원리는 온수매트에 연결된 가열장치에 물을 데웁니다. 크기는 가습기보다 적은 편에 속하고 데워진 물은 호스를 통해 매트 내부를 순환하여 매트 자체를 따듯하게 해주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잠을 자기 위해 방안이 조용할 때는 소음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음이 큰지 적은 지를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죠. 막상 자려고 누우면 “웅”하는 소리가 한번 거슬리면 잠을 자는데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 장점 : 전자파 걱정이 적고, 넓은 면적을 따뜻하게 할 수 있으며,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굉장히 적죠. 물을 데워서 따뜻하게 하는 매트이기 때문에 전기장판보다 건조함도 덜 느낄 수 있습니다.
- 주의점 : 전기장판보다는 구매비용이 비싼 편이고, 물을 데워주는 원리이기 때문에 물을 주기적으로 갈아주는 것이 위생이 좋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이불처럼 잘 개서 보관해야 하는데 이때 매트의 호수가 접히는 일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방법도 신경 써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적은 난방을 통해 전자파 걱정 없이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지만, 물을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하고 소음에 유의해야 하며 구매 가격이 조금 비싼 편입니다.
2. 난방텐트
추운 겨울에 적당한 난방온도를 설정하고 난방텐트를 설치하면 그 안에서 만큼은 따뜻하게 지낼 수 있어서 난방비를 많이 절약할 수 있습니다. 텐트 안에서 책을 읽거나 쉴 수 있게 아늑한 공간을 만들 수 있죠. 다양한 디자인과 크기가 있어서 환기창, 수납공간 등을 만들어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도 있습니다.
다만 텐트가 좁다면 답답함을 느낄 수 있으며,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환기 정도는 시켜줘야 건조함을 없을 수 있습니다. 또한 텐트 재질에 따라 세탁이 어려울 수 있고 관리가 번거로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공간에 맞는 크기를 선택해야 하고, 방부, 방풍 기능, 통기성이 있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좋죠.
결국 단열효과를 통해 텐트 내부의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원리이기 때문에 적은 난방으로도 잠이나 휴식을 취할 때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전기 히터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있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실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기름, 가스히터는 제외하고 전기히터, 온풍기 등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히터들이 있습니다.
전기히터
전기히터 중에서는 할로겐 히터, 세라믹 히터, 컨벡션 히터 등이 있습니다. 할로겐 히터는 바로 열을 제공하지만 화상 위험이 있으며, 세라믹 히터는 넓은 면적을 따뜻하게 해 주지만 전기세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컨벡션 히터는 공기를 데워 난방하는 방식으로 넓은 공간에 적합하지만 난방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히터를 구매할 때는 먼저 확인해야 할 것들이 있죠. 소비 전력입니다. 난방 면적과 사용 시간을 고려해서 나한테 적당한 소비 전력의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동온도 조절, 과열 방지, 넘어짐 방지 등의 안전 기능이 있는지 확인하면 더욱 좋습니다. 또한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하시려면 소음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과 A/S가 잘 되는 제품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장시간 사용하면 과열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고 타이머 활용은 필수입니다. 넘어지지 않도록 미끄러운 곳이나 경사진 곳에 놔두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필수입니다.
온풍기
공기를 데워 넓은 공간에 빠르게 퍼뜨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소음, 건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기 전력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온풍기도 전기 온풍기, 가스 온풍기, 석유 온풍기 등이 있는데 실내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 온풍기가 좋습니다. 전기히터보다 건조함을 더 만들어내기 때문에 환기와 습도 조절이 필수죠.
결국, 열을 만들어내는 장치이기 때문에 믿을만한 브랜드를 선택하고 안전과 소음에 대한 점을 고려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외에 난방비 절약 팁
단열을 통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창문에 단열재를 부착하거나, 문틈을 막아 밖의 찬공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결국 외풍을 막아서 내부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죠. 창문을 단열할 수도 있고, 단열 필름을 부탁할 수 도 있습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 설치를 통해 단열을 할 수도 있죠.
예를 들면, 뽁뽁이, 단열 필름, 커튼, 문틈에 문풍지 설치, 도어 스토퍼 등을 부착해서 혼자 쉽게 할 수 있으며, 시공이 필요한 단열들은 벽지 위에 단열재를 부탁한다거나, 페인트 같은 코팅형 단열재를 벽에 칠해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
온도 조절을 통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실내 온도를 1~2도 정도 낮추기만 해도 난방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1도만 낮추더라도 난방비를 7% 정도 줄일 수 있다고 알리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정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외출을 할 때 보일러를 외출로 놓을 것인지, 켜놓고 갈 나갈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면, 외출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외출시간이 길면 외출로 놓아서 보일러 운전을 적당한 시간대별로 활용하면 난방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외출시간이 적으면 보일러의 온도만 내려서 실내온도를 최소한 유지해주는 방법이 난방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외출할 때 보일러를 무작정 끄게 되면 집에 들어와서 온도를 다시 올리는 난방에너지가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습도 조절을 통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습기 등을 사용해서 적절한 습도(40~60%)를 유지하면 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에 수분 입자가 많아져 열을 더 잘 전달합니다. 즉, 같은 온도라도 습도가 높은 공간이 더 따듯하게 느껴지는 원리이죠.
또한, 습도가 낮은 건조한 공기는 피부에서 수분을 빼앗아가서 춥게 느껴지는데, 반대로 습도가 적절하면 피부가 건조하지 않아 더 따듯하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습도 유지는 실내의 열 손실을 줄여 난방을 더욱 따뜻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실내 습도를 높이는 방법들은 가습기 사용 이외에도 젖은 빨래 걸기, 물을 담은 용기 올려놓기, 수경 식물 키우기, 숯 올려놓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숯은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 건조한 날에도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햇빛 활용도 도움이 됩니다.
낮에는 커튼을 열어 햇빛을 실내에 충분히 받도록 해서 밤에는 그 복사열이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