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파동과 임펄스파동 차이점 비교

주식의 매매 타이밍을 예측하고자 할 때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을 구분하여 대응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다만 두 파동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정확하게 알아채기가 어렵지만, 엘리엇 파동이론에 근거하여 파동 조건을 비교하면 좀 더 알아채기가 쉽습니다.


조정파동과 임펄스 파동 차이점

조정 파동의 특징

조정파동의 위치는 상승 2 파동과 4 파동, 하락 B 파동에 위치합니다. 주가의 평균점을 찾아가고자 하는 파동의 흐름이며, 투자 심리의 변동성에 따라 플랫 패턴과 같이 단순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중, 삼중 지그재그 혹은 플랫패턴과 지그재그 패턴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형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조정파동은 언제나 3 파동(ABC파동)으로 나타납니다.
  • 복잡한 조정파동인 경우 분석하기 난해할 만큼 이중, 삼중 지그재그 패턴, 확장형 플랫, 삼각형 패턴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박스권에 갇힌 주가는 오랜 기간 동안 조정 파동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난해한 조정파동인 경우 파동 카운팅 오류를 조심해야 합니다.


임펄스 파동의 특징

임펄스 파동은 시장의 투자심리에 따라 추세가 결정되면 5 파동이 완성되는데 이때 5 파동까지 완성된 파동을 임펄스 파동 혹은 추진파동이라고 합니다. 주가의 추세가 결정될 만큼 강력한 시장의 유입이 있을 것이며, 5 파동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되어 임펄스 파동이 발생되면, 1파동 이후 2 파동 저점이 전고점을 지지하면서 상승 3 파동이 상승합니다.
  • 4 파동의 저점은 1 파동의 고점을 지지하고 반등하는 형태가 나타납니다.
  • 강력한 임펄스 파동일수록 상승 각도가 날카롭게 형성됩니다.


임펄스 파동과 조정파동 차이(상승추세)

아래는 파동의 형태가 유사하지만 상승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의 차이점을 비교한 차트입니다.

상승 추세일때 조정 파동과 임펄스 파동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차트로 임펄스 파동의 특징과 조정파동의 특징을 설명하는 차트
상승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 차이점 비교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의 가장 큰 차이점 은 2 파동의 저점과 4 파동의 저점의 위치입니다. 차트를 보면 전고점을 지지하면서 2 파동과 4 파동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만큼 강력한 매수힘이 임펄스 파동을 이끄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에 조정 파동의 경우 4 파동의 저점이 1 파동의 고점을 뚫고 내려가면서 지지선이 깨지는 파동형태가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임펄스 파동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조정파동으로 변형되는 경우, 지금까지 파동 카운팅을 했다면 파동이 초기화되어야 합니다. 생명력을 잃은 파동으로 해석되어 임펄스 파동 시그널이 나타날 때까지 조정파동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 차이(하락추세)

하락 임펄스 파동도 상승 임펄스 파동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됩니다. 다만, 주가가 상승장에서 하락장으로 추세가 전환되어 주가의 방향이 결정되는 점만 다릅니다.

하락 추세일때 조정 파동과 임펄스 파동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차트로 임펄스 파동의 특징과 조정파동의 특징을 설명하는 차트
하락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 차이점 비교

파동의 형태가 다소 유사하지만 하락 임펄스 파동과 조정파동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4 파동의 위치입니다. 하락 임펄스 파동은 4 파동의 고점이 1 파동의 저점(저항선 역할)을 뚫지 못하지만 조정파동의 경우 1 파동의 저점이 뚫리는 모습이 보입니다. 따라서 임펄스 파동이 아닌 여전히 조정파동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의 임펄스 파동과 조정 파동은 파동이 성장하는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파동의 움직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패턴의 차이점을 알아채야 합니다. 다만 파동분석을 통한 매매기법은 예측을 하는 기법이 아니며, 주가의 움직임을 보면서 대응하는 매매기법이기 때문에 그 기준은 본인 스스로 많은 경험을 통해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