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은 상승 5 파동과 하락 3 파동으로 전개되는 파동이론입니다. 상승 5 파동은 1파, 2파, 3파, 4파, 5파 동과 하락 3 파동은 A파, B파, C파으로 나뉘며 이때 B파동은 조정파동에 속해 있으며 시장을 교란하는 파동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조정파동 B파 의미, 역할
엘리엇 파동이론에 의하면 B파동은 플랫패턴, 지그재그 패턴, 삼각형 패턴 등과 같이 조정파동에 속해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을 교란하는 파동이지만 추세를 보는 방식에 따라 역할과 의미가 다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조정파동의 B 파동은 추세 방향으로 움직이는 예비 파동에 의미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B파동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먼저 추세파동인지 조정파동인지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엘리엇 파동이론에 근거한 파동 카운팅을 해야 하며, 하위파동과 중간파동, 상위파동의 방향을 확인해야 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 의하면 상위파동, 중간파동, 하위파동의 B파 방향과 역할이 다릅니다. 즉, 하위파동과 중간파동의 B파동의 역할은 주식시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동이기 때문에 시장을 교란하는 파동으로 볼 수 있으며, 하위 파동의 B파와 상위파동을 비교하면 B파의 역할은 상위파동의 추세방향으로 움직이는 예비 파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위파동과 중간, 하위파동의 구분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B파동 역할이 나침반이 될 것인지, 시장을 교란하는 파동이 될 것인지 의미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정리를 하면, 하위파동 관점에서 하위파동(검정)의 B파는 추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지만 중간파동(빨강)의 B파와 비교하면 반대방향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두 단계 큰 상위 파동과 하위 B 파동은 추세와 동일한 방향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B파동의 움직임이 파동 카운팅 조건을 벗어나게 된다면, 기존에 파동 카운팅은 초기화해야 되며, 전체 파동이 조정파동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즉, 엘리엇 파동이론은 종목의 주가가 상승 동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인 박스권의 조정파동으로 보아야 된다고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조정파동에서 B파동은 추세방향으로 잠시 나타나 주식시장에 교란을 주기 때문에 복잡하고 난해하며, 파동 예측에 대한 확신은 금물입니다. 파동이 완성되지 않는 파동 분석은 파동 움직임을 추정할 뿐 완벽한 시스템 매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