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이론에 주가의 장기 파동과 같은 월 단위, 년 단위 스케일로 파동을 봐야 할 때는 로그 스케일 사용을 강력하게 추천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장기 추세에서는 로그 스케일과 일반단위가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는 이유
엘리엇은 월봉이나 몇 년 단위 등 장기시세 파동을 분석할 때는 로그 스케일로 차트를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이유는 장기추세에서는 가격의 변동폭이 커서 파동을 카운팅 할 때 오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단순 가격대로 차트를 볼 것인지, 상승률로 차트를 볼 것이지에 대한 차이입니다.
만약 100원짜리 종목을 몇 년 단위로 장기추세의 파동을 분석한다는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단순 가격대로 차트로 바라보면 100원짜리 종목이 1년 후 100원이 올라 200원이 되고 또 1년 후 100원이 올라 300원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2년 동안 100원씩 올랐기 때문에 동일한 비율로 상승파동이 그려질 것입니다.
반면에 로그 스케일로 차트를 바라보면 100원짜리 종목이 1년 후 100%가 올랐고, 그 이후 50%가 상승한 결과입니다. 이런 개념으로 로그 차트가 그려지기 때문에 동일한 종목이라 하더라도 파동 차트는 다르게 표현될 것입니다.
따라서 장기적 관점 혹은 빠른 기간 안에 높은 상승률을 보이거나 높은 하락률을 보이면 차트를 로그 스케일로 바라봐야 엘리엇 파동 카운팅 오류를 회피할 수 있다고 엘리엇은 주장하였습니다.

가격 변동이 심한 비트코인을 일반 단위로 보았을 때와 로그 단위로 보았을 때를 비교하였습니다. 엘리엇이 주장한 것처럼 가격 변동성이 심한 경우에는 파동 카운팅 오류를 줄이기 위해 로그차트 분석을 권고하였는데, 비교 그림과 같이 5파의 엔딩 다이아고날 파동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엘리엇은 가격변동성이 심하거나 월, 년으로 차트를 분석할 때는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여 파동을 해석하라고 권고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본인 스스로 투자를 할 때 로그단위와 일반단위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쓰임새에 따라 활용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매기법 중 좋은 도구는 많은 경험과 노력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소신 있는 매매 규칙이 가장 좋은 도구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