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되돌림 탄생, 배경, 사례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주가파동과 피보나치(이탈리아 수학자, 1170년~1204년) 수열을 접목시켜 주가의 하락 움직임이 피보나치 비율만큼 주가를 되돌린다는 의미로 여겨집니다. 주가의 되돌림 원리와 탄생 배경을 통해 엘리엇의 핵심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순서

엘리엇 파동이론과 피보나치 수열의 관계

피보나치 수열로 완성된 엘리엇 파동이론

피보나치 되돌림의 개념


엘리엇 파동과 피보나치 수열의 관계

1930년대 미국의 주식시장에서 활동한 엘리엇은 본인의 주가 파동이론을 2권의 책으로 정리하여 엘리엇 파동이론을 만들었습니다. 파동이론에서 핵심내용 중 하나는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입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피보나치 비율이 녹아들었던 배경은 엘리엇의 두 번째 책에서 관계를 찾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책은 주가의 파동은 반복적인 리듬을 갖는 파동패턴을 발견하였다고 주장하면서, 그 파동 패턴은 상승 5 파동과 하락 3 파동의 반복적인 패턴이라고 알렸습니다. 따라서 파동의 움직임이 주가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는 논리로 본인의 파동이론을 주장하였습니다. 다만, 이 책에서는 주가의 방향만 제시할 뿐 주가의 등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책은 자연의 법칙과 우주의 비밀이란 책을 정리하면서 그동안 본인이 주장한 파동이론에 피보나치 비율을 접목시켰습니다. 그 배경에는 엘리엇의 철학이 함께 녹아 있는데 자연은 특정한 균형을 통해 자연스러운 리듬과 패턴에 따라 유지되고 있다는 믿음이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로 인해 인간 또한 그 반복적인 리듬 안에 있다는 다소 철학적인 내용을 말했습니다.

주가 또한 반복적인 리듬이 있으며 그로인해 상승비율과 하락비율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 배경은 이탈리아 수학자였던 피보나치가 말한 자연의 신비스러운 수학적 비율이 주식을 거래하는 인간 또한 자연계에 일부이기 때문에 주가의 파동은 자연의 법칙을 따른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엘리엇은 수학자인 피보나치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와 배경을 이해하면 엘리엇 파동이론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로 완성된 엘리엇 파동이론

이탈리아의 수학자였던 피보나치는 자연계에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특별한 숫자들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즉, 특정한 숫자들이 자연계의 균형을 위해 존재한다는 배경입니다. 실제 우연일지 모르지만 공통의 숫자들을 가지고 있는 자연계의 산물들이 존재하긴 합니다. 대표적으로 해바라기 씨의 배열과 나선은하의 비율, 일부 갑각류의 나선 형상 비율 등이 있으며, 이것은 자연계의 균형에서 오는 일관된 숫자와 비율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보나치 수를 설명하는 이미지로 피보나치 수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설명
피보나치 수의 개념

1, 2, 3, 5, 8, 13, 21, 44, 65 등은 피보나치 수이며, 앞뒤의 숫자들을 더하면서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원리입니다. 즉, 이렇게 만들어진 숫자가 피보나치의 이름을 따서 피보나치 수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피보나치 수는 각각의 비율들이 숨어 있습니다. 그 비밀은 앞뒤의 숫자들을 나누면 그 비율은 1.618과 0.618 비율이며 모든 피보나치 수를 나누어도 1.618 혹은 0.618로 동일한 비율을 갖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비율을 피보나치 비율이라고 하며, 현시대에서 황금비율이라고도 불립니다.

피보나치 수를 이용하여 피보나치 비율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설명
피보나치 비율의 개념

위의 그림처럼 피보나치 비율은 앞뒤 숫자들의 관계가 1.618, 0.618이며, 한 칸 띄운 숫자들의 관계는 0.382, 2.618, 두 칸 띄운 숫자들의 관계는 0.236, 4.236의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율은 실제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축물의 비율, 애플 사과 로고의 비율, 그리스 신전의 건축물 비율,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인체 비례도의 비율 등이 인간의 활동에서 나타난 황금비율이며 이것이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엘리엇은 본인의 주가 파동이론에 접목시켜 주가의 상승비율과 하락비율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첫 번째 책에서 주장한 상승 5 파동과 하락 3 파동 또한 피보나치 수 임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피보나치 비율은 지지선과 저항선이 될 수 있는 매물대로 인지할 수 도 있으며, 피보나치 비율을 응용하면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의미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피보나치 되돌림은 주가의 상승 혹은 하락분을 피보나치 비율만큼 반납하여 되돌린다는 의미로 상승분을 반납할 때 하락비율을 의미하며 하락분을 반납할 때 상승비율을 뜻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엘리엇 파동이론의 지지자들에 의해 자주 사용하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아래와 같이 주가의 파동분석을 할 때 주가의 등락을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을 적용하여 응용할 수 도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여러 가지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을 제시하는 사례입니다.

주식차트에서 대표적인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적용 사례로 3파 연장 비율, 5파 연장 비율, 연장이 없는 비율, 일반적인 5파동 비율과 2파동의 되돌림 비율을 설명하는 차트
피보나치 되돌림 적용 사례

대표적으로 1 파동을 1로 보았을 때 2 파동의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은 0.236, 0.382, 0.618 되돌림 비율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상승분의 0.618배를 반납하여 되돌린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피보나치 비율은 지지선 역할 및 매수, 매도 지점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수많은 파동의 경우의 수를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엘리엇이 주장한 대로 모든 파동이 피보나치 비율과 되돌림을 따라간다면 모든 투자자가 성공 투자를 하겠지만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주장하는 이론은 이론일 뿐입니다. 주가를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본인만의 기준으로 여러 가지 매매기법들을 활용하여 주식 거래를 한다면 빠른 대응을 통해 리스크를 회피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제시하는 경우의 수를 맹신하기에는 리스크가 큽니다. 그 이유는 파동이 완벽하게 끝난 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매매기법은 수많은 시도와 경험을 통해서 본인만의 매매 도구를 찾고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현명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