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파 되돌림 비율(엘리엇 파동)

주가가 상승세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2파 되돌림 비율이 중요합니다. 엘리엇 파동에 의하면 2파는 전체 파동의 성장 가능성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으며, 그만큼 2파 되돌림 양은 3파동, 4파동, 5파동으로 전개되는 파동의 힘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2파동 되돌림 비율 중요성

엘리엇 파동이론에 의하면 2파동의 조정깊이에 따라 파동사이클의 상승에너지를 가늠해 볼 수 있다고 얘기하였습니다. 즉, 상승추세에서 3파동의 상승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있는 방법은 임펄스 파동 발생 이후 조정파동인 2파동의 되돌림 비율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2파동 되돌림 비율이 적다는 것은 강력한 매수세가 존재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의 깊이가 낮게 나타나고, 반면에 2파동 되돌림 비율이 크다는 것은 매수의 힘보다 매도세가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파동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2파동 되돌림 비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엘리엇 파동의 2파 되돌림 비율을 설명하는 차트로 0.618 비율, 0.382 비율, 0.236 비율과 이외에 0.5 비율을 설명하는 차트
2파 되돌림 비율 종류

엘리엇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은 0.618 비율, 0.382비율, 0.236비율과 추가로 0.5비율이며, 그 비율을 2 파동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파동인 2파동의 깊이가 2 파동 이후 3파동에 이르는 파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즉, 조정의 깊이가 낮다는 것은 강력한 매수 흐름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조정파동인 2파동의 깊이는 주식시장의 투자심리를 엿볼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며, 조정파동인 2 파동의 모양을 보고 대략 주식시장에 변동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플랫 패턴과 같은 조정파동은 지그재그 패턴 보다 주식시장의 주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을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조정파동인 2파동의 파동 모양을 설명하는 차트
조정파동의 모양

플랫 패턴의 파동 모양은 상단과 하단의 채널이 형성되면 박스권 안에서 파동 움직임이 갇혀 있는 모습이 대부분입니다. 반면에 지그재그 패턴은 복잡한 파동모양으로 알 수 있듯이 매수, 매도 심리가 다소 불확실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지 예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그재그 파동과 같은 모양으로 전개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오랜기간 동안 0.618비율의 2파 되돌림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대외변수, 경제정책에 의해 더욱 큰 3 파동의 상승장을 만들어 낼 수 도 있기 때문에, 파동분석에 의한 매매기법은 파동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을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양한 매매기법도 그렇듯이 엘리엇 파동이론에 의한 파동 분석 또한 주가를 예측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론과 원리를 먼저 알고 급변하는 주식시장에서 순발력있는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본인만의 소신있는 투자철학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