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상승장에서 연장파동은 3 파동과 5 파동에서 발생합니다. 1 파동에서 발생하게 되면 파동의 생명력이 조기에 소진되어 완성되기 힘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연장파동은 3 파동에서 자주 발생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3파 연장 비율
3파 연장 비율의 경향은 2가지 비율이 일반적으로 나타납니다.
3 파동의 연장 비율은 피보나치 비율을 따르며, 일반적인 상승장에서는 1.618 배로 상승하며, 강력한 불장에서는 2.618배로도 나타납니다. 이때의 거래량 확인은 상승의 단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1.618 비율을 갖은 3파 연장비율은 3 파동에서 5개의 소규모 파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3 파동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1.618 비율을 완성시킵니다.
3 파동이 연장파동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상승 초기 3 파동이 1 파동의 고점을 뚫고 상승하면서 소규모(2) 파의 저점이 1 파동의 고점을 반등하고 (3) 파동이 상승하게 되면 매수힘이 강력하다는 반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618 비율을 갖는 3파 연장 비율은 연장파동이 완성됨과 동시에 그 안에서 또다시 연장 파동이 발생하는, 흔히 말하는 불장 형태의 3 파동이 발생합니다. 이때의 투자 시장은 군중심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식시장에 들어와 엄청난 유동성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거래량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입니다.
이렇게 강력한 상승장에서는 반로그 척도를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만 정확한 피보나치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상승하는 각도와 비율의 왜곡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척도인 산술척도를 적용하게 되면 진폭이 일정한 비율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 파동에서 연장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때로는 5 파동에서 연장파동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에서는 3 파동에서 연장파동이 발생하면 5 파동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동일하게 5 파동에서 발생하면 3파동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연장파동은 하나의 사이클에서 한 번만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