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M(Advanced Air Mobility)은 도심 항공 교통(UAM)과 지역 항공 교통(RAM)을 포괄하는 미래형 항공 이동 시스템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FAA(미국 연방 항공청)는 UAM보다 넓은 비전을 설명하기 위해 AAM이란 용어를 사용했죠.
AAM(Advanced Air Mobility) 뜻과 개념
AAM은 미래형 항공 이동 시스템, 서비스를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그 안에 UAM, RAM 등이 하위개념에 속해있죠. 초기에는 단순 도심 내 이동이 가능한 UAM으로 불렸지만 종합적으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VTOL, eVTOL 등의 항공기를 활용하여 도심 내 이동, 도시 간 이동 등의 다양한 범위와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이 AAM의 목표입니다.

결국 AAM에 대한 용어는 미래 항공 수단, 도심항공교통 확장형, 첨단 항공 교통 등으로 불리고 있지만 NASA에서 정립한 개념은 항공 서비스가 부족하거나 관련 이동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장소에서 사람과 화물을 이동할 수 있는 항공 운송 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결국, 지역 간 항공 이동이 가능하고 지역간 연결성이 강화될 수 있는 개념입니다.
AAM의 개념 구분
AAM은 크게 도심 항공 교통(UAM)과 지역 항공 교통(RAM)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결국 UAM과 RAM은 AAM의 하위 개념에 속해있는 항공 이동 서비스입니다.
- 도심항공 교통(UAM, Urban Air Mobility) : 메가 시티와 같은 도심 내에서 단거리 이동에 활용되는 AAM으로 eVTOL(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항공기를 주로 사용하며, 항공택시 드론 택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예시) 개인용 항공 택시, 공중버스, 드론 택배 등 - 지역 항공 교통(RAM, Regional Air Mobility) : 지역 간 이동에 활용되는 AAM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추진 방식의 VTOL 항공기를 활용합니다. 그 이유는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기 때문이죠. 즉, 기존 교통수단으로는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시) 지역 간 여객 수송, 의료 비상 수송, 인도주의적 지원, 해양 연구 및 구조
구분 | UAM | RAM |
개념 | 도심 내 단거리 항공 이동 시스템, 서비스 | 지역 간 항공 이동 시스템, 서비스 |
이동 범위 | 도심 내 단거리(수 십 킬로미터) | 도심 내 단거리 ~ 지역 간 이동(수백 킬로미터) |
예시 | 개인용 항공 택시, 드론 택배, 공중 여객 등 | 지역 간 여객 수송, 의료 비상 수송, 해양 탐색 및 구조 |
활용 분야 | 출퇴근, 쇼핑, 여가 활동, 도시 물류, 관광 등 | 지역 간 여행, 의료 서비스, 재난 대응, 지역 물류 등 |
AAM의 개념 발전 역사
특정 회사를 목표하는 것이 아니라 AAM의 발전 역사를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수직이착륙 기술 발전의 발판
- 1950년대 : 초기 수직이착륙 기술 발전의 토대가 된 시점이며 헬기, 초기 VTOL의 항공기 개발이 되었습니다.
- 1960년대 : AAM의 가능성을 현대적인 VTOL(군용기)을 개발함으로써 확인하던 시기였습니다.
- 1970년대 : 개인용 항공기 개발(Burt Tutan의 VariEze)로 AAM의 초기 개념을 보여주던 시기였습니다.
- 1980년대 : 틸트로터 기술 발전이 있던 시기이며, V-22 오스프리의 성공적 운영이 활용성을 증명하던 시기였습니다.
기술발전과 시장 관심 증가
- 1990년대 :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항공기가 연구, 개발이 되던 시기로 AAM의 실용성이 주목받았습니다. 친환경적이며, 소음이 적은 추진체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 2000년대 :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 발전이 전기 항공기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여주던 시기였습니다.
급진적인 발전과 상용화 추진
- 2013년 : NASA는 UAM 시장 규모가 3000억 달러 이상 전망 보고서를 발표함으로써, AAM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경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 2015년 : 우버는 항공 택시 서비스를 발표함으로써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의 시작이었습니다.
- 2017년 : 두바이는 세계 최초로 AAM 서비스를 시범운영 한다는 계획을 발표함으로써 정부차원의 지원과 규제 환경 조성 노력이 있었습니다.
- 2020년 : 우리나라 현대자동차의 AAM 사업 진출이 시작된 해였으며, 자동차 업계 참여가 시작되는 시기였습니다.
- 2023년 : 조비, eVTOL 항공기 등의 성공적인 시험 비행이 시작되면서 AAM의 이동 서비스의 상용화가 가속화되는 시점이었습니다.

AAM의 특징
혁신적인 항공 기술
AAM은 전기 추진, 수직이착륙, 자율 비행 등 혁신적인 항공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됩니다. 특히 전기 추진 시스템은 연소 엔진 대비 친환경 적이며, 소음이 적어 도시 환경에 적합합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유지, 보수 측면에서 강력합니다.
결국 배터리 성능과 전기 모터 기술이 핵심이며, 이러한 기술은 자동차 업계와 맞물려 기술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수직이착륙(VTOL) 기술은 활주로가 필요없기 때문에 도심 적용에 적합하며, 건물 옥상에서 조차 이착륙이 가능하게 때문에 범용성이 강력합니다. VTOL 방식의 종류는 틸트로터, 덕트팬, 쿼드콥터 등이 있으며 현재로서는 기술적 성숙도가 높습니다.

도심 교통 혁신
메가시티의 교통 혼잡 완화, 환경오염 감소, 이동 거리 단축 등 도심의 교통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교통 혼잡 완화 : 도심 교통 혼잡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AAM 서비스는 자동차 이용 감소로 이어져 교통 체증을 줄이고 대기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이동 거리 단축 : 개인용 항공 택시, 공중 여객 버스, 드론 택배 등 인간의 이동 거리를 크게 단축시키며 사람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이동 운송 수단을 선택하게 할 수 있습니다.
지역 연결 강화
기존의 교통수단으로는 접근이 어려웠던 지역 간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각 지역의 접근성,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향상 : AAM은 도시 내 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본으로 쓰여지는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산업 촉진
AAM은 항공기 제조, 운영, 서비스, 편의 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관광 산업 활성화 : AAM은 도시 관광 산업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하늘을 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새로운 관광 산업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 도시 물류 개선 : AAM은 드론 택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 효율성 및 배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 도심 내 공간 활용 : AAM은 기존 도로나 철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공간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 개발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빌딩 옥상 활용 : AAM 서비스의 항공기체 이착륙을 건물 옥상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도시 중심의 이동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도시 디자인 : 위와 같은 효율과 장점을 갖는 AAM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시 디자인의 기회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