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각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블록체인 기술 등을 활용하여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CBDC기술은 아직은 초기 단계이며,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술입니다.
CBDC를 도입하려는 이유는?
금융 서비스 효율화
- 사람들에게 금융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 접근성이 좋아집니다.
- 즉, 현금과 카드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결제가 가능하고 나라 간 송금 비용이 절감될 수 있습니다.
금융 시스템 보안 강화
- 금융 시스템을 더욱 투명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거래 내역이 분장원장 기술로 기록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해킹을 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금융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또한 불법적인 자금 이동 및 자금세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촉진
-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새로운 금융 비즈니스 개발을 지향할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 위에 생성형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면 혁신적인 금융 비즈니스 모델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정부 관리 시스템 효율화
- 블록체인 기술 기반이기 때문에 정부 지원금 및 세금 징수를 저비용, 고효율로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정부가 정책을 실행할 때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습니다.
CBDC 도입 국가
국가 | CBDC 이름 | 발행 연도 |
바하마 | 샌드 달러 | 2020 |
나이지리아 | eNaira | 2021 |
잠비아 | Kwacha | 2022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Sango | 2022 |
가나 | e-Cedi | 2023 |
앤티가 바부다(동 카리브해 국가) | DCash | 2021 |
세인트 키츠 네비스(동 카리브해 국가) | DCash | 2021 |
그레나다(동 카리브해 국가) | DCash | 2021 |
세인트 루시아(동 카리브해 국가) | DCash | 2021 |
몬세라트(동 카리브해 국가) | DCash | 2021 |
CBDC 시범 운영 국가
국가 | CBDC 이름 | 시작 연도 |
중국 | 디지털 위안 | 2014 |
스웨덴 | e-크로나 | 2017 |
일본 | 디지털 엔 | 2019 |
한국 | 디지털 원 | 2020 |
영국 | Britcoin | 2020 |
EU | 디지털 유로 | 2020 |
미국 | 디지털 달러 | 2021 |
캐나다 | 디지털 캐나다 달러 | 2021 |
호주 | eAUD | 2021 |
태국 | 센트럴 뱅크 디지털 커런시 | 2022 |
인도 | 디지털 루피 | 2022 |
브라질 | 디지털 레알 | 2022 |
남아프리카 | 프로그레스 | 2022 |
스위스 | 디지털 프랑 | 2023 |
CBDC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미국이나 선진국들은 파일럿 운영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약점 분석, 문제점 여부 등을 연구하여 CBDC의 장점을 충분히 극대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부차원에서 돈의 흐름에 따라 개인 정보가 추적될 수 있기 때문에, 이해 관계자들은 CBDC 도입을 꺼려하기도 합니다.
또한 기술적 문제로 인해 금융 사고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해킹에 대한 우려, 금융기관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칠지 모르기 때문에 충분한 사회적 논의와 연구가 수반되기를 각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